본문 바로가기

뉴스

LX, 사옥 매입 나설까…LG 이미지 탈피, 매입 적기[마켓인]

0
댓글0
LX, 사옥 마련 관측 힘 실려…내부서도 필요성 제기
LG 이미지 탈피하고 독립성 확보 위해선 매입 필연적
의미 없이 지출되는 임차료, 지주사 수익으로 전환
서울 내 프라임오피스 시장 회복세…매입 적기 의견도
이 기사는 2025년03월28일 18시37분에 마켓인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마켓in 이건엄 기자] LX그룹이 서울 시내 프라임오피스(연면적 9만9000㎡ 이상) 시장 문을 두드릴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LX인터내셔널(001120)과 LX하우시스(108670) 등 규모가 큰 계열사를 다수 거느리고 있는 LX그룹이 경영 효율화 차원에서 이들을 한 데 모을 수 있는 사옥 매입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시장에서도 LX그룹이 LG에서 분리한 지 5년 차에 접어든데다 최근 프라임오피스 시장도 다시금 활기를 되찾고 있다는 점에서 사옥 매입 적기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데일리

LX홀딩스와 LX인터내셔널, LX판토스, LX MDI, LX벤처스가 입주해 있는 LG광화문 빌딩. (사진=LG)


◇ 대형 매물 거래 활발…LX 관심도↑


28일 투자은행(IB) 업계와 재계에 따르면 LX그룹이 향후 사옥 매입에 나설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사옥 매입에 대해 공식적으로 밝히진 않았지만 장기적인 비용 절감과 독립 경영 체제 확립, 브랜드 가치 제고 등을 고려했을 때 자체 사옥 마련은 필연적 선택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실제 LX그룹 내부에서도 자체 사옥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2세 경영 체제를 대비해 독립성 확보 차원에서 사옥 마련에 나설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시장에서도 LX그룹의 사옥 매입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보고 있다. 시장에 사옥으로 쓸 수 있는 대형 매물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는 만큼 실수요자인 LX의 관심이 클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최근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으로 국내외 투자자들의 오피스 투자 수요가 위축된 측면이 있지만 기업 실수요자 중심의 매입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이는 LX그룹이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프라임오피스를 매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 상업용 부동산 서비스 전문기업인 젠스타메이트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오피스빌딩 거래액은 13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젠스타메이트가 오피스빌딩 거래 규모를 집계한 2000년 이후 2020년(13조9000억원)에 이어 두번째로 큰 규모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광화문과 여의도, 강남 등 주요 비즈니스 중심지에서 대형 매물이 시장에 나오고 있다”며 “조달금리도 꾸준히 우하향 하면서 안정화되고 있어 기업 실수요자들의 문의 역시 증가 추세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데일리

LX하우시스와 LX MMA가 입주해 있는 LG서울역빌딩. (사진=LG)


◇ 업무 공간 확보 넘어 브랜드 가치 제고


재계에서는 LX그룹이 사옥을 마련하게 되면 단순한 업무 공간 확보를 넘어 브랜드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 이점이 상당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독자 사옥의 존재는 LG와의 연결고리를 끊을 수 있는 좋은 수단인 만큼 LX그룹 계열사들이 LG이미지를 완전히 탈피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LX그룹 계열사 상당수는 대중에 여전히 LG 산하로 인식되는 등 LX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 LX그룹 계열사 상당수가 LG가 보유하고 있는 빌딩을 임차하고 있는 탓에 기업이미지(CI) 등을 외부로 노출 시키는 데 제약이 따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독자 사옥 마련은 지주사의 수익성 개선과 계열사의 비용지출 절감 측면에서도 긍정적이다. 지주사인 LX홀딩스가 사옥을 보유하고 임차료로 지출되는 비용을 지주사의 수익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LX그룹 계열사들은 사옥 부재로 매년 상당한 돈을 LG에 임차료로 지출하고 있다. 분리 초기 안정적 운영을 위해 LG그룹과의 임차 계약을 유지한 상태로 계열분리만 진행했기 때문이다.

LX홀딩스와 LX인터내셔널, LX판토스 등 사업보고서를 통해 판매비와 관리비 항목이 확인되는 회사들이 지난해 지출한 임차료는 110억원에 달한다. 이중 상당액이 LG에 임차료로 지불되고 있는 셈이다.

현재 LX홀딩스와 LX인터내셔널, LX판토스, LX MDI, LX벤처스는 LG광화문 빌딩에 입주해 있다. LX하우시스와 LX MMA는 LG 서울역 빌딩에, LX세미콘은 LG전자 양재 연구개발(R&D) 센터와 강남 디앤오빌딩에 입주해 있다.

재계 관계자는 “LX그룹이 LG에서 분리한지 5년 차에 접어들었지만 여전히 LG 이미지가 강하게 남아 있다”며 “이는 독자 사옥의 부재 영향도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룹의 독립성과 브랜드 이미지 제고 차원 측면에서 독자 사옥이 갖는 의미는 크다”며 “미래에는 결국 사옥 매입에 나설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스핌[세종25시] 최상목 '美 국채' 논란 확산…대응 않던 기재부가 선회한 이유
  • 이투데이"벚꽃 축제 가볼까 했더니"…여의도 벚꽃길, 무사히 걸을 수 있나요? [이슈크래커]
  • 아주경제[수출 불 꺼뜨리는 노조] '트럼프 관세'도 나몰라라...현대제철式 초강경 대응 확산할 듯
  • 아시아경제'도수치료' 받고 실손보험금 타기 어려워진다…5세대 실손보험 바뀌는 점
  • JTBC'복귀' 땐 정치도 경제도 시계 제로…최악의 불확실성 직면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