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방통위 "이통사 긴급위치정보 정확도·응답시간 모두 개선"

0
댓글0
머니투데이


소방·경찰 등 긴급구조기관에 제공되는 이동통신 3사의 위치정보가 정확도와 응답시간이 개선되는 등 전년보다 신속·정확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는 28일 긴급구조 위치정보의 품질향상을 유도하기 위해 이통3사의 '2024년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측정 결과'를 발표했다.

3사의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은 △기지국 △GPS(위성항법시스템) △와이파이별로 위치 기준 충족률과 위치정확도, 위치응답시간 등을 측정했다. 도시, 지형, 실내·외 등 다양한 환경을 반영해 전국 163개 지점에서 실시됐다.

품질측정 결과 기지국 방식은 위치정확도(52.3m→25.0m)와 응답시간(3.0초→1.4초)이 개선됐다. 와이파이 방식은 위치기준 충족률(96.8%→98.9%), 정확도(20.1m→18.7m), 응답시간(4.2초→2.4초) 모두 향상됐다. 다만 GPS 방식은 2023년 대비 위치기준 충족률(97.7%→99.0%)과 위치응답시간(4.6초→1.7초)은 개선됐으나, 위치정확도(11.3m→12.7m)는 다소 낮아졌다.

사업자별로 품질측정 결과를 살펴보면 '위치기준 충족률'은 GPS 방식의 경우 SK텔레콤 99.8%, KT 99.3%, LG유플러스 97.9%로 나타났다. 와이파이 방식은 SK텔레콤 99.5%, KT 99.3%, LG유플러스 98.0%로 나타났다.

위치정확도는 기지국 방식의 경우 KT 22.3m, LG유플러스 24.9m, SK텔레콤 26.0m였으며, GPS 방식은 SK텔레콤 8.6m, LG유플러스 12.5m, KT 13.8m다. 와이파이 방식은 SK텔레콤 14.5m, LG유플러스 19.9m, KT 20.8m로 측정됐다.

마지막으로 위치응답시간은 기지국 방식의 경우 KT 1.0초, SK텔레콤 1.4초, LG유플러스 1.7초였으며, GPS 방식은 KT 1.5초, LG유플러스 1.5초, SK텔레콤 2.0초다. 와이파이 방식은 KT 1.6초, SK텔레콤 2.2초, LG유플러스 3.5초로 나타났다.

신영규 방통위 방송통신이용자정책국장은 "각종 긴급구조 상황에서 국민 생명과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위치정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긴급구조기관과 이동통신 3사, 단말기 제조사 등과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승한 기자 winon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메트로신문사AI 에이전트, ‘비서 이상의 존재’라지만…여전히 명령반응 수준 머물러
  • 이데일리카카오 '다음' 분사 고용안정 합의…급한불 껐지만 불씨 여전
  • 한국일보오늘의집, 설립 10년 만에 첫 흑자
  • 플래텀일상의 미학이 된 국밥, 그리고 얼음의 사계절
  • 비즈워치'전문경영 내세운' 한미그룹, 효율 드라이브 걸리나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