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국세청, 100원 걷는 데 든 비용 0.59원…건설·제조업 세금 많이 밀려

0
댓글0
작년 총 세수 328.4조원, 징세비용 1.9조원
헤럴드경제

[국세청 제공]



[헤럴드경제=배문숙 기자]지난해 국세청이 세수 100원을 걷는 데 소요된 비용은 0.59원으로 조사됐다. 전체 세수는 경기 부진 등으로 전년보다 2%가량 줄었고, 건설업·제조업을 중심으로 체납액은 늘었다.

국세청은 2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징수 분야 국세 통계를 공개했다.

지난해 국세청 소관 세수는 전년보다 2.1%(7조3000억원) 줄어든 328조4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소관 세금을 걷는 데 지출한 직원 인건비 등 금액인 징세비용은 총 1조9000억원이다. 세수 100원당 0.59원꼴이다.

세수 100원당 징세비용은 2010년 0.81원에서 2015년 0.71원, 2020년 0.63원, 지난해 0.59원 등으로 지속해서 줄고 있다.

국세청 관계자는 “세수와 비교해 국세청 예산이 적게 증가해 전체적인 징세비가 감소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국세청 직원 1인당 세수는 지난해 160억원으로 집계됐다. 2010년 90억원에서 2015년 110억원, 2020년 137억원 등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해 지역별 세수는 서울이 115조4000억원으로 전체의 35.1%를 차지했다. 경기(50조6000억원), 부산(23조9000억원)이 뒤를 이었다.

전국 133개 세무서 중에는 서울 남대문세무서가 18조1000억원으로 세수 1위를 기록했다. 이어 부산 수영세무서(15조5000억원), 서울 영등포세무서(13조8000억원)·서초세무서(10조5000억원)·삼성세무서(8조6000억원) 순이었다.

남대문·영등포세무서는 법인세 비중이 큰 금융기관 등이 밀집해 있으며 수영세무서는 증권거래세 비중이 큰 한국예탁결제원을 관할하고 있다. 서초·삼성세무서 역시 각종 기업과 상권 밀집 지역이다.

지난해 말 기준 징수가 가능한 체납액(정리중 체납액)은 전년보다 1조7000억원 증가한 19조4000억원으로 나타났다.

경제 성장에 따라 세금 규모가 커지면서 체납액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고 국세청은 설명했다. 세목별로는 부가가치세 체납액이 8조4000억원(43.5%)으로 가장 많았고, 소득세(4조원), 법인세(2조1000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부가세는 건설업(2조2000억원), 제조업(1조7000억원), 도매업(8000억원)에서 체납이 두드러졌다. 법인세 체납액은 부동산매매업(5000억원), 건설업(4000억원), 제조업(2000억원) 중심이었다. 지난해 은닉재산 신고 건수는 1855건으로, 이를 통해 130억원의 세금이 징수됐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머니투데이클릭 한 번에 "돈 들어온다"…오늘부터 '2900억' 규모 종소세 환급
  • 연합뉴스TV산불에 통신망 속수무책…“인프라 재점검할 때”
  • 경향신문김승연 회장 지분 3형제에 증여…‘유상증자 논란’ 가라앉히기
  • 이투데이“지브리풍으로 그려줘” 폭발적 반응…챗GPT가 알려준 현 상황은? [해시태그]
  • 연합뉴스뉴욕증시, 상호관세 D-2 경계감 고조·기술주 투매…하락 출발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