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공간은 국가 안보영역
“보안기술 연구 박차 가해야”
“보안기술 연구 박차 가해야”
성능검증위성 임무 상상도. [사진=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 때 쓰였던 ‘성능검증위성’을 우주 사이버보안 기술 연구에 재활용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국가보안기술연구소는 국가정보원, 우주항공청과 함께 임무가 완료된 인공위성을 재활용하여 ‘우주 사이버보안 기술 연구’ 사업에 착수했다고 28일 밝혔다.
항우연은 “임무를 성공적으로 마친 성능검증위성(PVSAT)을 사이버보안 기술 연구 목적으로 새생명을 불어 넣음으로써 국가 자산의 효율적인 관리와 운영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어 정부출연연구기관 간 우수 협업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협력 사업은 2021년 7월 항우연과 국보연이 체결한 협정서를 기반으로 추진됐다. 항우연은 위성개발과 운영, 국보연은 보안기술의 국내 전문기관으로 양 출연연의 전문성을 결합해 우주 사이버보안 기술력을 향상시킨다는 협정을 맺은 바 있다.
최근 인류의 우주 진출이 가속화되면서 우주 사이버보안 강화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부도 이에 발 맞춰 대응 중이다. 국가정보원과 우주항공청은 우주 자산을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지난 2024년 6월부터 관계기관 합동으로 ‘위성 사이버보안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 중이다.
정부는 이번 협력 사업 착수를 시작으로 우주 사이버보안을 더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우주 사이버보안 연구 저변을 확대하는 한편, 국내 산업·학계 등에서도 연구 목적의 국가 우주자산 활용이 가능하도록 유사 사업을 적극 발굴해 추진할 계획이다.
이상철 항우연 원장은 “우주 사이버 위협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출연연 간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실제 우주환경에서 사이버 보안 기술을 실증·강화함으로써 우주산업 경쟁력과 국가 안보 역량을 동시에 높이겠다”며 “특히 이번 사업은 임무를 마친 위성을 재활용한다는 점에서 국가 자산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우주 보안 기술 연구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황수훈 국보연 소장은 “우주 자원과 기술에 대한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우주 공간은 새로운 국가 안보 영역으로 인식되고 있다“며 ”이번 사업을 계기로 우리나라 우주 분야 국가 경쟁력 향상 및 국가 안보 유지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