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 2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의과대학생 집단 제적 위기가 현실화되며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는 “학생들이 독립적으로 결정할 것으로 믿고 존중한다”며 대처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28일 오전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열어 “정부는 대통령 권한대행이 서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신뢰를 바탕으로 학생들과 허심탄회하게 대화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길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전날 ‘의과대학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글’이라는 제목의 서한을 통해 “정부는 여러분이 학업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집중하겠다”며 의대생들의 복귀를 촉구했다.
실제 미등록에 따라 의대생이 대거 제적되는 일이 벌어질 경우에 대해선 “여러 시나리오를 갖고 법무팀과 논의 중”이라며 의협이 의대생 문제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에 대해 여러 차례 반박했다. 김 대변인은 “의협은 그 누구보다 많은 학생과 대화하고 있다. 하나하나 밝히면 책 몇 권을 써도 모자랄 정도”라며 “학생과 대화하는 입장부터 모든 대응 수위가 의대마다 다른데 일률적으로 대안을 요구하는 건 의협의 월권이라 본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학생들을 신뢰하고 있다”며 “고민하고 숙고하고 결정할 것으로 믿고 있다”고 부연했다.
박단 의협 부회장(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 SNS를 통해 복귀 반대 입장을 낸 것과 관련해선 “글을 못 봤지만 의대생의 투쟁 방향에 대해 언급할 이유가 없으며 공식 입장이 없다”고 즉답을 피했다.
박 부회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 아직 주저앉을 때가 아니다”라고 적었다. 이어 “죽거나 살거나, 선택지는 둘뿐”이라며 “학교가 나서서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는데 왜”라고 덧붙였다.
각 대학이 예고한 의대생 등록 마감 일자는 속속 다가오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은 이달 말 등록을 마무리하고 복귀 의사를 밝히지 않은 의대생을 제적 처리할 방침이다. 21일 등록을 마감한 연세대와 고려대의 경우 전체 재적생 중 80~90%가 등록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지면서 다른 대학들도 미등록 학생들에 대한 제적 통보 일자를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서울의대 학생들은 일단 등록 후 투쟁하는 방식을 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