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캐나다 총리 "車관세에 보복 조치…1~2일 내 트럼프와 대화"(종합)

0
댓글0
"부당한 관세 부과…美노동자·소비자들에 피해"
보복 조치 예고…"2일 상호 관세 발표 후 대응"
"양국 관계는 끝났다…트럼프와 1~2일 내 통화"
뉴시스

[오타와=AP/뉴시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27일(현지 시간) 캐나다 오타와 국회의사당에서 기자회견 하고 있다. 카니 총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수입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데 대해 보복 조처하겠다고 예고했다. 2025.03.28.



[서울·워싱턴=뉴시스] 이혜원 기자, 이윤희 특파원 = 캐나다 정부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25% 자동차 관세를 비판하며 보복 관세로 정면 대응하겠다고 예고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신임 총리는 27일(현지 시간) 긴급 내각회의 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또다시 기존 무역협정을 위반해 우리나라에 부당한 관세를 부과했다"고 비판했다.

카니 총리는 "이번 관세는 자동차 산업과 성실하고 헌신적인 캐나다인 50만여 명을 목표로 삼았다"면서 "결국 미국 노동자와 소비자들에게 피해를 준다는 것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명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캐나다를 약화하고 미국이 우릴 소유하기 위해 무너뜨리고 부서뜨리는 어떤 시도도 거부한다"며 "그런 일은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관세에 대한 우리의 대응은 싸우고 보호하고 성장하는 것"이라며 "우린 미국에 최대한 영향을 미치고, 캐나다엔 최소한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보복적인 무역 조치들로 미국의 관세에 맞서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어떤 보복 조처를 할 것이냐는 취재진 질문에는 4월 2일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 등이 이어질 것이라며 "일주일 안에 더 많은 것을 알게 될 것이고, 그때 대응할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뉴시스

[오타와=AP/뉴시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가 27일(현지 시간) 캐나다-미국 관계 및 국가 안보에 관한 내각 회의를 주재하기 위해 오타와 국회의사당에 도착하고 있다. 2025.03.28.



이번 관세는 정당화될 수 없다며, 양국 무역 협정 위반이라는 점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양국 관계를 영구적으로 바꿔놓았으며, 향후 무역과 관계없이 회복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카니 총리는 "경제 통합 심화와 긴밀한 안보 및 군사 협력에 기반한 미국과 캐나다의 오랜 관계는 끝났다"고 선언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1~2일 내 통화할 의사도 밝혔다.

양국 관계 악화 속 지난 14일 취임한 카니 총리는 아직 트럼프 대통령과 통화하지 않았다. 통상 캐나다 신임 총리는 취임 직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가져왔다.

카니 총리는 백악관이 통화 일정을 잡기 위해 연락을 취했다며 "하루나 이틀 안에 통화할 예정"이라고 예고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만들겠다는 위협을 멈추고 캐나다를 존중하는 모습을 보이기 전까진 무역 협상에 나서지 않겠다고 선 그었다.

뉴시스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6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발언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해외에서 만들어진 자동차와 경트럭에 25% 관세를 부과한다는 포고문에 서명했다. 2025.03.28.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모든 외국산 자동차 및 일부 부품에 25%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 오는 4월 2일부터 시행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한국과 일본 등 동맹국들의 수출에 타격을 가하는 한편, 수십 년간 형성된 캐나다·멕시코와의 북미 공급망을 부정하는 결정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루스소셜에 "유럽연합이 캐나다와 협력해 미국에 경제적 피해를 줄 경우 이제까지 계획했던 것보다 훨씬 큰 대규모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경고도 했다. 그럼에도 캐나다는 보복 대응을 예고한 것이다.

뉴시스

[토론토=AP/뉴시스] 지난 9일(현지 시간) 캐나다 온타리오주 토론토의 정부 운영 주류 판매장인 LCBO 매장 선반에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미국산 제품은 판매하지 않는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5.03.28.



미국과 캐나다는 이미 한차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를 두고 충돌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펜타닐 유입을 이유로 모든 캐나다와 멕시코 수입품에 25% 관세를 부과했고, 캐나다는 보복 관세로 대응했다.

미국이 미국·멕시코·캐나다협정(USMCA)을 준수하는 경우에 한해 한 달간 관세를 유예하면서 양국 갈등은 잠시 소강상태다.

이후 캐나다에선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퇴임하고 카니 총리가 취임했다. 카니 총리는 첫 순방지로 프랑스와 영국을 선택하며 미국에 대한 반감을 드러냈다.

☞공감언론 뉴시스 hey1@newsis.com, sympathy@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시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서울신문“30만명 죽는다” 섬뜩 전망 나온 ‘이 나라’…최악 대지진 공포 성큼
  • SBS러 "미국과 희토류 협상 개시"…우크라 점령지 광물 넘기나
  • 중앙일보미얀마 지진 사망자, 2056명…부상 3900 넘고 270명 실종
  • 아시아경제"2.4→0.3% 뚝"…'트럼프 관세'에 美 성장률 직격탄 전망
  • 뉴스핌떨고 있는 발트3국 "우크라戰 끝나면 러시아의 다음 표적은 우리일꺼야"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