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클린턴 대통령 통화 '말씀자료' |
28일 외교부가 공개한 1994년 외교문서에 따르면 김영삼 대통령은 당시 '3단계 북미고위급 회담'(8월 5∼12일) 직후인 8월 17일 클린턴 대통령과 38분가량 전화 통화를 했다.
당시 북미회담에서는 북미 연락사무소 설치, 경수로 지원, 원자로 건설 동결, 잠정 에너지 제공 등 '주요 사항'에 대한 합의가 이뤄졌다. 이후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정식 합의는 10월 21일 체결된다.
이어 "심지어 미국이 남북대화의 중요성을 소홀히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비판론마저 있어 우리 정부를 당혹하게 하고 있다"며 "이는 북한이 아직도 한국과의 실질적 관계진전 없이 미국과의 관계개선이 가능하다고 잘못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고 쓰여 있다.
또 "한미 양국은 북측의 한미 간 술책을 계속 경계하면서 남북대화 진전의 중요성을 북측에 확실하고 끈질기게 인식시켜야 할 것"이라는 문구도 담겼다.
해당 문건은 통화 준비용으로 작성된 것으로, 실제 통화에서 어느 정도 수위로 발언이 이뤄졌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통화 이후 청와대 대변인 브리핑에서는 "김 대통령은 북한의 개혁과 개방을 유도하기 위해 동족으로서 지원할 용의가 있으며 문제는 지금부터라는 점을 강조했다", "한미 간 추호의 틈새도 없이 긴밀한 공조 체제를 유지하면서 북한의 행동을 주시하기로 했다"는 등 표현만 담겼다.
하지만 당시 북미협상 과정에 한미 간 충분한 협의가 이뤄지지 않았고, 합의문에 남북대화 관련 문구가 없었던 점 등에 대해 우리 정부가 강한 우려를 가졌음은 분명해 보인다.
실제 이런 분위기는 이듬해 합의 초기 이행 과정까지 이어져 '한국형 경수로 도입' 문제를 둘러싸고 한미 간 이견이 표출되기도 했다.
지난 2014년 제네바합의 20주년 세미나에 나선 1994년 협상 주역들 |
hapyry@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