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캐나다 총리 "美와 오랜 관계 끝났다...보복 조치로 싸울 것"

0
댓글0
"美에 최대·加에 최소 영향 보복조치 마련할 것"
4월 2일 상호관세 윤곽 후 내놓을 듯
트럼프와 곧 통화...주권국가로 존중해야 협상 진전
아주경제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 [사진= AFP연합뉴스]




“깊은 경제 통합과 긴밀한 안보·군사 협력을 기반으로 했던 미국과의 오랜 관계는 이제 끝났다.”

27일(현지시간) BBC 등 외신에 따르면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한 내각 특별위원회 회의를 마친 뒤 회견에서 이같이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것에 대해 강력하게 반발하며 보복 조치를 마련을 예고한 것이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응해 “캐나다 경제를 근본적으로 재구성해야 한다”면서”미국에는 최대한의 영향을 미치고 캐나다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주는 보복 조치로 미국의 관세에 맞서 싸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이 더 이상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며 "포괄적인 협상을 통해 일부 신뢰를 회복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만, 과거로 되돌아갈 수는 없을 것"이라고 했다.

카니 총리는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의 윤곽이 드러난 후 종합적인 대응책을 내놓을 것으로 보인다. 그는 "미국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일련의 조치를 내놓고 있는 가운데 이를 각각 대응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우리는 일주일 후 더 많은 것을 알게 될 것이고 그때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과의 통화 여부에 대해선 "어젯밤 미국 대통령 측이 통화 일정을 잡기 위해 연락해왔다"며 "하루나 이틀 안에 대화를 나눌 것"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그는 미국과의 협상이 진전되기 위한 조건으로 미국이 캐나다의 주권을 존중해야 한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동안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합병하겠다고 위협해왔다. 이는 관세 압박과 맞물려 캐나다 내에 반미 감정을 부추기고 있다. 카니 총리는 "우리의 주권을 존중해달라는 것은 우리 입장에선 그리 대단한 요구가 아니지만, 그에겐 큰 문제인 듯하다"라며 "따라서 그러한 존중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캐나다가 유럽연합(EU)과 협력해 대미 보복조치에 나선다면 더 큰 대규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위협한 것과 관련해선 "우리는 주권 국가이고 결정은 우리가 한다"며 "그가 하는 발언에 주의를 기울이지만 그 이상의 의미는 없다"라고 했다.

카니 총리는 지난 15일 쥐스탱 트뤼도 총리의 뒤를 이어 집권 여당 자유당 대표에 오르면서 총리에 취임했다. 캐나다는 다음달 28일 조기 총선을 치를 예정이다. 트뤼도 전 총리가 물가 상승, 이민자 유입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지지율이 폭락하면서 다음 총선에서 야당인 보수당이 득세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과 카니 총리의 지지율 상승으로 분위기는 달라졌다.

CBC뉴스가 각종 여론조사를 집계해 발표하는 여론조사 트래커에 따르면 자유당의 지지율은 26일 기준 40.2%로 보수당(37.3%)을 앞섰다. 자유당이 다수 의석을 확보할 확률은 69%로, 보수당이 다수 의석을 확보할 확률은 1%로 CBC뉴스는 각각 전망했다. 로이터통신은 “최근 여론조사 결과는 카니 총리가 이번 총선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둘 것임을 시사한다”고 전했다.
아주경제=이지원 기자 jeewonlee@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SBS러 "미국과 희토류 협상 개시"…우크라 점령지 광물 넘기나
  • 뉴스핌떨고 있는 발트3국 "우크라戰 끝나면 러시아의 다음 표적은 우리일꺼야"
  • 서울경제'푸틴 소유 추정' 5억짜리 방탄 리무진 모스크바서 '펑'···암살 의혹도 '활활'
  • 헤럴드경제“침대 밑에 괴물 있다” 아이 말 안 믿었는데…숨어있던 남성 발견 ‘충격’
  • 한국일보트럼프 만난 핀란드 대통령 "휴전 시작 날짜 못 박자" 제안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