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돌아서면 또 산불"‥낙엽 실험으로 본 재확산 이유

0
댓글0
◀ 앵커 ▶

불이 계속 되살아나고 꺼지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건조한 낙엽 더미입니다.

겉에 물을 뿌려도 낙엽층 속에는 불씨가 계속 머무는 건데요.

이상훈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 리포트 ▶

지리산 자락 산 중턱.

진화대원들이 낙엽을 바람으로 걷어내며 앞으로 나아갑니다.

[김태규/산림청 주무관]
"바람을 이용하여, 연료가 되는 낙엽 등을 불탄 지역으로 불어내고 불티와 연료를 2~3미터 이상 분리하여 진화선 구축을 (하는 겁니다.)"

불길이 낙엽 더미로 접근하자 긴박하게 갈퀴로 걷어냅니다.

걷어낸 낙엽 더미는 대원 허리 높이나 됩니다.

경남 산청 산불 일주일째, 진화율이 90%까지 올랐던 산불은 다시 되살아나 지리산까지 덮치고 있습니다.

강풍과 더불어 건조한 낙엽층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헬기가 연거푸 진화에 나섰지만, 경남 산청의 한 마을에선 벌써 세 번째 산불이 되살아났습니다.

[경남 산청군 신천마을 주민]
"계속요. 낮에 하루 종일 꺼 놓으면, 헬기가 와서 꺼놓으면 밤에 또 되살아나고 되살아나고… 낙엽도 많고 워낙 말라서…"

이미 산불이 휩쓸고 간 자리에도 낙엽 더미에서 다시 불길이 피어오릅니다.

물을 뿌리며 동시에 갈퀴로 낙엽을 일일이 솎아내는 수밖에 없습니다.

산불 진화 현장입니다. 아직도 연기가 나고 있고 손을 대면 열기가 느껴집니다. 물에 젖은 낙엽을 걷어내자 메마른 낙엽이 수북하게 쌓여 있습니다.

[홍구탁/산불전문진화 대장]
"이 위에 있는 '지표화'는 불 끄기가 쉬운데 '지중화'가 된 산은, 낙엽층이 두꺼운 산은 불 끄기가 힘들죠. 땅속으로 불이 스며드니까…"

낙엽에 불을 붙여 실험해봤습니다.

평균 수분 함량인 낙엽 더미와 건조한 낙엽 더미에 동시에 불을 붙이자 건조한 낙엽 더미가 2배나 빨리 탑니다.

초속 3미터의 바람까지 더해지면 6분이나 빨리 타버립니다.

[장미나/국립산림과학원 박사]
"불씨는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 수분을 조금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안 타고 있다가 그게 이제 다시 산소가 공급되고 건조해지면 또다시 불꽃이 일어나게 되죠."

산림과학원은 우거진 숲 속에 쌓여 있는 낙엽 더미에서는 400도 이상인 숨은 불씨가 최대 일주일 동안 있을 수 있다며 철저한 감시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이상훈입니다.

영상취재: 강건구 (경남) / 영상협조: 국립산림과학원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강건구 (경남)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MBC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한국일보가수 윤하 남편, 카이스트 출신 44만 유튜버 '과학쿠키'였다
  • 이데일리김수현 120억 손배소에도…가세연 추가 폭로 "영상 더 있어"
  • 조선일보야구장 매점 줄 서 있다 날벼락… 초유의 관중 사망사고
  • JTBC[단독] 장제원 '호텔방 영상'에 "이리 와봐 빨리"…남성 DNA 검출
  • TV조선창원NC파크 구조물 낙하사고 20대 피해자 끝내 사망…KBO 1일 전 경기 취소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