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발생 닷새째인 26일 경북 의성군 신평면 교안리의 한 민가 뒤 야산에 불이 확산하고 있다. 2025.03.26. [의성=뉴시스] |
“오답노트를 잘 만들어 놓고서도 같은 문제를 또 틀린 상황이다.”
21일부터 영남 지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산불이 역대 최대 사망자 및 피해 면적을 발생시키자 산불 방재 시스템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나온다. 대형 산불이 발생할 때마다 각종 대책을 내놓지만, 진화 후엔 개선이 없다는 것이다. 실제 산림당국이 2023년 전국 동시다발 산불 이후 만든 ‘산불백서’에서 진화 헬기와 진화 인력 부족 등의 문제를 이미 지적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후 2년간 해당 문제점에 대한 대책은 거의 시행되지 않았고, 올해 ‘역대 최악의 산불 피해’로 이어졌다.
● 2년 전 문제 이미 지적… 개선 안 돼
백서에 따르면 산림당국은 2023년 4월 기준 총 48대의 헬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담수량 8000L 대형 헬기인 S-64(시코르스키)가 7대, 중형 헬기인 담수량 3000L의 KA-32(카모프) 29대와 2000L의 KUH-1(수리온) 1대, 담수량 600~800L의 소형급 11대 등이다. 산림당국은 백서에서 “이상기온과 가뭄 등으로 산불이 일상화, 대형화,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산불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담수량 5000L 이상 대형 헬기를 확충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 “12개 산림항공권역당 최소 대형 헬기를 2대 이상 확충 추진해야 한다”고도 지적했다. 최소 24대의 대형 헬기가 더 필요하다는 진단이 이미 2년 전에 나왔던 것이다.
2년이 지난 현재 산림청이 보유한 헬기는 총 50대다. 그간 중형 헬기인 수리온 2대가 늘어나는 데 그쳤다. 50대 중 31대는 도입 20년이 지난 노후 기종이다. 주력 기종인 러시아산 KA-32 헬기 중 8대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영향으로 수리 부품 수급이 막혀 운용이 중단됐다.
● 산불 진화 특화 인력, 2년 새 증원 0명
인력 문제도 2년 사이 나아지지 않았다. 우리나라 산불 대응 인력은 산불재난특수진화대, 공중진화대,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관할하는 산불전문예방진화대가 있다. 이 중 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는 전문 지식을 갖춘 특수 인력으로 헬기 등 소방 장비를 동원해 현장에 투입된다.
2023년 산림당국은 백서에서 “산불 진화 특화 인력을 늘려야 한다”고 분석했다. 당시 특수진화대는 435명, 공중진화대는 104명으로 총 539명이었다. 백서는 험준한 지형이나 야간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 특수 인력을 확대해 지자체에 배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027년까지 산불 대응 특수 인력을 2500명으로 늘리겠다”고도 기록했다.
2년이 지난 현재 산불재난특수진화대는 435명, 공중진화대는 104명으로 한 명도 늘지 않았다. 인력 공백을 전문성이 부족한 지역 주민 등 민간인들로 구성된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들이 메우면서 사상자가 발생하고 있다. 산림당국 관계자는“예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산불진화 헬기를 급격하게 늘리기 어려웠다”며 “담수량 1만 L 대형 헬기 1대와 수리온 헬기 3대 등을 추가로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력 문제도 관계 기관과 협의해 해결 방법을 찾겠다”고 덧붙였다.
● 전문가 “빨리 장비-인력 보강해야”
전문가들은 기후 온난화의 위협이 갈수록 심각해지면서 사계절 중 언제든 산불이 급격하게 늘어날 수 있다며 인력과 장비 문제를 가급적 빨리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 산림 전문가는 “산림청이 공공일자리 사업의 일환으로 모집한 산불진화대는 대부분 고령의 계약직 인력이다 보니 비교적 젊은 인력인 특수진화대원이 필요한데, 현재는 400여 명이 전국을 커버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인력이 적다 보니 현장에 빠르게 출동하기도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토의 60% 이상이 산지임을 고려하면 적어도 지금의 5배인 2000명은 있어야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고기연 산불학회장은 “헬기를 확충할 수 없다면 군에서 보유 중인 CH-47(치누크) 헬기 등을 대형 산불에 동원하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며 “산불을 초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동식 저수조’ 등을 산림 지역이나 산불 발생 지역에 의무적으로 배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병두 국립산림과학원 환경연구부장도 “현재 헬기 수로는 이번과 같은 대형 산불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헬기를 늘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상환 기자 payback@donga.com
최원영 기자 o0@donga.com
전혜진 기자 sunrise@donga.com
이정훈 기자 jh89@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