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月 100원만 내세요” 알뜰폰, 5G 초저가 요금제 출혈 경쟁… 정부 도매대가 정책 실효성 ‘의문’

1
댓글0
조선비즈

서울 시내에 위치한 알뜰폰 스퀘어 매장./뉴스1



알뜰폰 업계가 초저가 5G(5세대 이동통신) 요금제를 내놓으며 가입자 유치에 나서고 있다. 최근 알뜰폰 회사가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에 지급하는 도매대가(망 대여료)를 깎아주는 정책이 마련됐기 때문이다.

이번 정책은 알뜰폰 회사가 정부 지원 등에 의존하지 않고 유의미한 수준의 매출을 내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주기 위해 시행됐다. 하지만 도매대가로 절감한 재원을 사실상 수익이 나지 않는 초저가 요금제 판매에 다시 사용하면서, 정책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27일 알뜰폰 요금제 비교사이트 ‘알뜰폰허브’에 따르면 현재 월 이용료가 1만원 이하인 5G 알뜰폰 요금제는 총 49종이다. 여기에 5000원 미만인 요금제 16종, 1000원 미만인 요금제 4종이 포함됐다. 이중 최저가 요금제는 월 100원에 데이터 1GB(기가바이트), 음성 100분, 문자 100건을 제공하는 이야기모바일의 상품이다. 1000원 미만 5G 저가 요금제는 6개월이 지난 후 월 요금이 7000원대로 전환된다.

지난해 6월 기준으로 1만원 이하인 5G 알뜰폰 요금제는 25종이었고, 5000원 미만인 요금제는 7종에 불과했다. 당시 가장 저렴한 5G 요금제는 월 990원이었다. 1년 사이에 5G 저가 요금제 수가 2배 가까이 늘어난 데다, 요금 하한선도 더 낮아진 셈이다.

조선비즈

현재 판매중인 저가 5G 알뜰폰 요금제. /알뜰폰 허브 캡처



지난 1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알뜰폰 업체들이 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에 지불해야 하는 종량제 요금 도매대가를 5G, LTE(4세대 이동통신) 구분 없이 기존 대비 최대 52%(1.29원/MB → 0.62원/MB)까지 낮추겠다고 밝혔다. 알뜰폰 요금제는 정액형과 종량제(RM) 방식으로 나뉜다. 정액형은 통신 3사와 같은 구성의 상품을 가져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재판매하는 요금제를, 종량제 방식은 알뜰폰 업체가 자체적으로 구성한 요금제를 뜻한다.

과기정통부가 종량제 도매대가를 크게 낮춰주면서 알뜰폰 업체들은 최근 1만원대에 28GB 데이터를 제공하는 5G 요금제를 출시하기 시작했다. 현재 SK텔레콤과 도매대가 협상을 마무리한 알뜰폰 업체들이 20여종의 요금제를 냈고, 향후 LG유플러스와 협상을 마무리한 사업자들이 비슷한 요금제를 추가로 낼 것으로 보인다.

과기정통부는 알뜰폰 업체들이 통신 3사에게 받는 판매 장려금을 활용해 출시하는 저가 요금제에 의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같은 정책을 마련했다. 알뜰폰 업계가 자체 상품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수준의 매출을 올려 자립하게 하자는 취지다. 업계는 알뜰폰 업체가 가입자 1명을 유치할 때마다 통신 3사로부터 5만~10만원의 판매 장려금을 받는 것으로 추산한다.

알뜰폰 업체가 5G 정액형 요금제를 판매할 때마다 통신 3사에 도매대가로 가입자 1인당 매출의 60%를 지급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상 5G 저가 요금제로는 수익을 남길 수 없는 셈이다.

그러나 알뜰폰 업체 입장에서는 저가 요금제를 통해 당장 가입자 유출을 막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알뜰폰 번호이동 순증 건수는 지난 2월 4만2426건으로, 지난해 2월(6만5245건) 대비 35% 줄었다.

여기에 오는 7월 단말기유통법(단통법) 폐지 이후 통신 3사가 가입자 유치를 위해 보조금을 늘릴 것으로 예상되면서, 알뜰폰이 통신 3사에 더 많은 가입자를 빼앗길 것으로 예상된다. 통신 3사는 다양한 부가 혜택도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이날 KT는 오는 5월 8일부터 포인트로 할인 받을 수 있는 한도를 없애고, 더 다양한 제휴처에서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멤버십 제도를 개편한다고 밝혔다. SK텔레콤, LG유플러스도 멤버십 혜택을 강화할 것으로 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김병준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는 “정부 지원으로 약간의 여력이 생긴 알뜰폰 회사들이 저가 요금제로 다시 유혈 경쟁을 시작한 것”이라며 “저가 요금제로 가입자를 유치하고 수익을 포기하는 운영 방식은 장기적으로 지속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민국 기자(mansay@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쿠키뉴스끊이질 않는 ‘간호법’ 갈등…시행령 마련 지연에 “늦더라도 제대로”
  • 뉴스1구글이 한국에서만 지도 서비스를 못한다고? [손엄지의 IT살롱]
  • 파이낸셜뉴스이스트소프트, 퓨리오사AI와 AI 인재 양성 맞손
  • 조선비즈카카오엔터, ‘바니와 오빠들’ 드라마화 기념 웹툰 외전 연재
  • 매일경제떨어진 시력도 회복된다고?…카이스트 연구팀, 세계최초 망막 재생 성공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