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임금근로자 평균대출 5150만원…증가세 속 고령자 연체율 높아

0
댓글0
2023년 연체율 0.51%…0.08%P↑
2023년 임금 근로자의 평균 대출액이 증가세로 전환했다. 은행 및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체율은 2년째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고령자의 연체율은 다른 세대 대비 높았다.

아시아경제

지난해 11월 서울 여의도 버스환승센터에서 직장인들이 두꺼운 외투를 입고 출근길에 오르고 있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3년 일자리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를 보면 2023년 12월 말 기준 임금 근로자의 평균 대출은 5150만원으로 전년 대비 0.7%(35만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연체율은 대출 잔액 기준으로 0.51%를 기록, 0.08%포인트 상승했다.

임금 근로자의 평균 대출은 최근 몇 년간 계속 늘어나다가 2022년(-1.7%) 감소하는 듯했지만 2023년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다. 연체율은 낙폭을 그리다가 2022년(0.02%포인트) 이부터 2년째 상승 흐름을 보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2023년 평균 대출액은 2022년 줄어든 데서 살짝 오른 정도로 보합세 수준을 보였다"며 "특이 사항은 대출 내용이 바뀌었다는 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은행 대출이 늘어난 반면 비은행 대출은 줄었고, 주택담보대출이 늘었지만 신용대출 등은 줄면서 보합세를 보인 것"이라고 덧붙였다.

실제 금융기관별로 대출액을 나눠 보면 전년과 비교해 은행(1.7%) 대출이 늘어난 반면 비은행(-1.2%)은 감소했다. 대출 종류로는 전년 대비 주택담보대출(3.7%), 주택외담보대출(2.1%)이 늘었지만 신용대출(-5.4%)과 기타대출(-4.0%)은 감소했다. 임금 근로자의 중위대출은 5000만원으로 전년 대비 변동이 없었다.

연령별 평균 대출은 ▲40대(7790만원) ▲30대(6979만원) ▲50대(5993만원) ▲60대(3745만원) ▲70세 이상(1853만원) ▲29세 이하(1601만원) 순으로 많았다. 전년과 비교하면 40대(2.0%)와 70세 이상(1.4%) 등에서 대출이 늘었다. 연체율은 ▲ 60대(0.86%) 50대(0.66%) 70세 이상(0.65%) 29세 이하(0.49%) 40대(0.46%) 30대(0.31%)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 유형별로 보면 아파트(6265만원) 거주자의 평균 대출이 가장 많았다. 뒤로는 오피스텔·기타(4556만원), 연립·다세대(3977만원), 단독주택(2993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보다 아파트(0.3%) 거주자의 대출이 늘어난 반면 오피스텔·기타(-2.3%) 등은 줄었다. 연체율은 단독주택(1.39%)이 가장 높고, 아파트(0.29%)가 가장 낮았다.
아시아경제

소득 구간이 높을수록 대출액은 많았다. 구체적으로 ▲1억원 이상(1억5703만원) ▲7000만~1억원(1억769만원) ▲5000만~7000만원(8056만원) ▲3000만~5000만원(4732만원) ▲3000만원 미만(2482만원) 순이다. 연체율은 반대로 3000만원 미만(1.32%) 3000만~5000만원(0.45%) 5000만~7000만원(0.22%) 7000만~1억원(0.14%) 1억원 이상(0.08%) 순으로 높았다.

기업 규모가 클수록 평균 대출도 많았다. 대기업 임금근로자(7782만원), 비영리기업(4935만원), 중소기업(4299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과 비교해보면 중소기업(2.2%)이 늘었고 비영리기업(-1.7%)과 대기업(-0.5%)은 줄었다. 연체율은 중소기업(0.82%), 대기업(0.29%), 비영리기업(0.23%) 순으로 나타났다.

산업별로는 ▲금융·보험업(1억27만원) ▲정보통신업(7342만원) ▲전문·과학·기술업(6976만원) ▲제조업(6395만원) ▲공공행정(6334만원) 임금 근로자 순으로 대출액이 많았다. 전년 대비 사업지원·임대업(4.3%) 등은 대출액이 늘었지만 교육업(-1.5%) 등은 감소했다. 연체율은 ▲건설업(1.28%) ▲숙박·음식업(1.12%) ▲운수·창고업(0.98%) ▲부동산업(0.91%) 등이 높았다.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더스쿠프뜨거운 LNG 추진선에 필요한 차가운 기술력 [시크한 분석: 동성화인텍]
  • 머니투데이자유무역 78년 뒤흔든 충격…"한국, 그래도 최악은 피했다" 왜?
  • 노컷뉴스일본·EU보다 관세 더 때려 맞는 한국…심지어 25 아닌 26%[박지환의 뉴스톡]
  • 뉴스웨이한 자리 모인 금융수장들…"지분형 모기지로 금융 패러다임 바꾸자"
  • 한국일보'대행 체제' 한계? 무역 흑자 탓? 한국 상호관세율, 일본보다 높았다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