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엿새째 '주불' 못잡고 있는 산림청…"소방청으로 지휘 일원화" 목소리도

1
댓글0
올해 산림청 예산 2조6169억 중 산불 예산 10.7%
산림청 "산림은 지속해서 우리가 관리"
뉴스1

전국 곳곳에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27일 경북 의성군 고운사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 있다. 이번 산불로 국가지정 문화유산 보물로 지정된 고운사 가운루와 연수전 등이 전소됐다. 2025.3.2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의성=뉴스1) 이성덕 기자 = 건조한 봄날씨와 태풍급 바람으로 경북 북부권과 동해안이 타들어가며 '역대 최악 산불'로 기록될 전망이다.

지난 22일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은 엿새째 5개 시·군으로 번지고 있다. 현재까지 산불영향구역은 서울 면적(6만520㏊)의 절반에 달한다.

27일 오전 9시 산림청은 브리핑을 통해 "진화율이 의성 54%, 안동 52%, 청송 77%, 영양 18%, 영덕 10%로 각각 집계됐다"며 "5개 시·군의 산불영향구역은 3만3204㏊(1억44만2100평)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뉴스1

26일 오후 경북 영양군 입암면 방전리 일대 야산에서 불이나 의용소방대원들이 산불 진화를 하고 있다. 2025.3.26/뉴스1 ⓒ News1 김영운 기자


총괄지휘권을 가진 산림청이 장비와 인력을 경북 의성군과 안동시에 투입해 주불 잡기에 나서고 있지만, 영양과 영덕 진화율이 10%대에 머무르는 등 인접한 청송군과 영양군, 영덕군 등지에는 제대로 손을 쓰지 못하고 있다.

이와중에 산림청과 소방청은 '산불 지휘권'을 놓고 때아닌 '갑론을박'을 벌이고 있다.

산림청이 총괄 지휘권을 가졌지만 엿새째 주불을 잡지못하자 일부 전문가들은 "소방청으로 지휘체계를 일원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현행법상 산불이 발생하면 산림 진화는 산림청이, 민가와 시설물 보호는 소방청이 맡는다.

산림청의 올해 예산 2조6169억 원 중 산불 관련 예산은 2807억 원으로 10.7% 수준이다.

뉴스1

전국 곳곳에 산불이 이어지고 있는 27일 경북 의성군 고운사에 화마가 휩쓸고 간 흔적이 보인다. 이번 산불로 국가지정 문화유산 보물로 지정된 고운사 가운루와 연수전 등이 전소됐다. 2025.3.27/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산림 지휘권에 대해 산림청은 "산림은 지속해서 산림청에서 관리했다"며 "산림에 식재하고 임산물을 관리하고 임도 건설을 담당하고 있다. 진화에 특화된 헬기 50대도 보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소방청은 "불이 나면 시민들은 119로 전화한다"며 "신고 체계가 잘 갖춰져 있기 때문에 초기 대응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어 "기초지자체의 읍·면·동까지 119안전센터가 들어가 있다"며 "산림청에는 특수진화대원이 있지만 전문교육은 받은 사람은 극소수이며, 일반 산불진화대는 60세 이상이다. 체력적으로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주장했다.

뉴스1

경북 의성산불이 강풍을 타고 영덕으로 확산된 26일 오전 영덕읍에 있는 자동차 정비소에서 수 십여대의 차량이 불에 타는 피해가 발생했다. 2025.3.26/뉴스1 ⓒ News1 최창호 기자


이에 대해 손원배 초당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산불 지휘권을 놓고 산림청과 소방청이 오랫동안 숙제를 풀지 못하고 있다"며 "소방공무원이 읍·면·동까지 배치돼 현장 지휘 통제 체계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조직 이기주의로 인한 피해는 시민들이 보게 된다"며 "지휘 체계를 일원화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번 산불을 놓고 "역대 최악의 산불로 수만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의성 산불로 지금까지 70대 헬기 조종사 1명을 포함해 22명이 희생됐으며, 천년사찰 '고운사'가 전소되는 등 문화유산과 보물 등 상당수가 소실됐다.

뉴스1

25일 오후 어둠이 내린 경북 안동시 남후면 광음리 뒷산에 민가를 삼키려는 화마처럼 산불이 확산하고 있다. 2025.3.25/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psyduck@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스1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머니투데이90세노인 휴대폰 수리 맡겼더니…은행 앱 깔아 2억 빼돌린 직원
  • 하이닥숨쉬기 힘들다면 휘어진 '이곳' 때문일 수도…적절한 치료 방법은 [인터뷰]
  • 매일경제[단독] ‘괴물 산불’ 일으킨 실화자 또 있다...농사용 쓰레기 태우다 화재
  • 경향신문[단독]도움 호소했던 영양군수 “주민 ‘대성통곡’에도 헬기 지원조차 되지 않았다”
  • 뉴시스한예슬 기사에 "양아치 날라리…나잇값 하자" 악플러 2심서 무죄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