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트럼프 자동차 관세, 자국민에 더 타격"...'부메랑 된다' 우려 커

0
댓글1
연합뉴스TV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 시각 26일 발표한 자동차 분야 관세에 대해 관련 업계와 전문가들은 수입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가 미국 내 차량 판매가격을 수백만∼수천만원 올려 미국 소비자들에 부담을 지울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가 세수를 연간 1천억 달러(약 147조 원) 늘리고 제조업체들이 미국 내 생산으로 전환할 것이라고 공언하지만, 글로벌 공급망이 얽혀 있는 상황에서 관세 충격이 부메랑으로 되돌아와 미국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타격이 더욱 클 것으로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습니다.

미 상무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이 수입한 외국산 승용차 및 경량트럭은 전체 차량 판매량의 절반가량인 약 800만대로, 액수로는 2,435억 달러(약 358조 원)에 이릅니다.

AP 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에 수입된 자동차 및 소형 트럭 수입 규모는 2,440억 달러(약 359조 원)에 달하는데, 대표적 대미 수출 국가는 멕시코, 일본, 한국 등입니다.

업계 전문가들은 외국 생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부과가 수입 자동차 가격은 물론 미국 브랜드 차량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미국의 자동차 전문 사이트 카스닷컴은 올해 2월 기준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조립해 수입된 차량의 51%가 미국 브랜드였다고 분석했습니다.

미국 내 제조업체들이 수입산 경쟁 차량의 가격 인상과 부품 비용 상승을 고려해 미국 생산 차량의 가격을 함께 인상할 유인도 큽니다.

경제분석업체 앤더슨이코노믹그룹은 앞서 트럼프 행정부가 캐나다와 멕시코를 상대로 예고했던 25% 관세가 그대로 시행될 경우를 가정, 3열 풀사이즈 SUV 가격이 9천 달러(약 1,300만 원) 오르고, 크로스오버 전기차의 경우 최대 1만2,200달러(약 1,800만 원) 오를 수 있다고 추정하기도 했습니다.

투자 정보업체 울프리서치는 캐나다·멕시코 대상 25% 관세 시행을 가정했을 때 미국 내 차량 가격을 평균 3천 달러(약 445만 원) 올리고, 관세 대상국인 캐나다·멕시코산 모델 가격은 평균 7천 달러(약 1천만 원) 올리는 효과를 낼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고율 관세 부과가 결국 소비자에게 가격 인상 부담으로 전가될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멕시코·캐나다에 전면적으로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가 다음 달 4일로 시행을 유예한 것도 이런 이유인 것으로 해석됩니다.

미국의 수입산 자동차 25% 관세 부과는 미 경제 전반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됩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최근 경제지표에선 미국의 성장세가 이미 둔화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신호가 속속 감지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leess@yna.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YTN[자막뉴스] 트럼프, 피바람 몰고 오는 그린란드 '긴장'... 마지막 전쟁터는 '북극'
  • JTBC[단독] 눈 돌리는 곳마다 건물 잔해…직접 마주한 만달레이의 참상
  • 세계일보푸틴에 ‘처음’ 화낸 트럼프…핀란드 대통령 ‘비공식 종전 특사’ 급부상
  • 뉴스핌떨고 있는 발트3국 "우크라戰 끝나면 러시아의 다음 표적은 우리일꺼야"
  • 조선일보‘양말 애호가’ 美국방장관, 日총리 면담 때 고른 색깔은?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