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합참은 북한군이 동부전선 철책 상하단을 보수하는 모습을 공개했다. 북한은 이달 들어 '국경선화' 작업을 재개했다. /합참 |
우리 합동참모본부는 2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최근 북한군 동향을 공개했다.
합참은 러시아로 파병된 북한군 1만1000여 명 중 약 4000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올해 1∼2월 약 3000 명 이상이 증원 개념으로 추가 파병된 것으로 파악한다고 밝혔다. 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추가 파병을 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규모는 파악 중이라고 지난달 밝혔다. 당시 군 관계자는 추가 파병 규모가 1000명 이상이라고 추정한 바 있는데, 이번에 합참이 3000명 이상이라고 공식 발표한 것이다.
북한군이 동부전선 지뢰폭발 사상자를 후송하는 모습. 국경선화 작업 중 지뢰를 매설하는 과정에서 사고가 난 것으로 추정된다. /합참 |
북한은 러시아에 병력 외에 미사일, 포병 장비, 탄약 지원도 지속하고 있다고 한다. 합참은 현재까지 상당량의 단거리탄도미사일(SRBM)과 170㎜ 자주포 및 240㎜ 방사포 220여 문을 북한이 지원했으며 전황에 따라 늘어날 수 있다고 봤다.
지난해 겨울철부터 중단됐던 전선 지역 작업은 이달 초부터 재개됐다고 한다. 합참은 “북한 스스로를 봉쇄하는 철책 보강 등의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며칠 전 올해 첫 지뢰폭발로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교대 투입 병력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한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북한이 지난해 ‘남북 적대적 두국가론’을 내세우며 시작한 ‘국경선화’ 작업이 재개됐다는 것이다. 북한은 지난해 ‘국경선화’ 작업을 하는 가운데 지뢰폭발 사고가 20여회 벌어졌다. 수차례 군사분계선(MDL) 이남으로 남하해 우리 군이 경고 사격을 하기도 했다.
DMZ 내에 있는 북한 지역 경의선 송전탑 11개의 철거는 마무리됐다. 다만 군사분계선 이북 첫 번째 송전탑은 철거하지 않았고, 군이 예상했던 대로 감시용 CCTV 1대가 달렸다. 합참은 “우리 측 경계 작전에 직접 위협은 되지 않으나 작전 활동이 북한군에 노출될 수 있어 이를 유념해 경계 작전 및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 건물의 자재 반출 활동도 지난해 12월부터 지속되고 있다고 합참은 전했다.
합참은 북한이 지난해 말 당 전원회의의 결과로 ‘초강경 대미대응전략’을 공표한 뒤 한미연합훈련과 미국 전략자산 전개 등에 시비를 걸며 연쇄 담화 및 핵 능력 과시를 통해 ‘몸값 올리기’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합참은 최근 북한군 활동자료를 27일 공개했다. 사진은 북한군이 동부전선 임시초소에 경계근무를 위해 투입되고 있는 모습. /합참 |
군사정찰위성 추가 발사는 현재 발사 임박 징후가 식별되지 않았다. 합참은 북한이 “기술적 미완성 상태에서의 무리한 발사보다는 안정성 등 기술적 완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여 동향을 추적 중”이라고 밝혔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에서는 북측 특이동향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합참은 한미 연합연습 ‘자유의 방패’(FS)와 관련해 북한이 총 10여회의 담화·논평을 발표한 것을 언급하며 “다양한 전략·전술적 도발이 예상돼 감시 및 대비태세를 강화 중”이라고 했다. 합참 관계자는 “고체추진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극초음속미사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잠수함발사순항미사일(SLCM),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등의 발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한미 정보공조 하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합참의 경계태세는 이상 없다”고 했다.
[양지호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