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연세대 의대생 '등록 후 휴학' 선회…고려대선 복학 상담 이어져(종합)

1
댓글1
연세대·고려대 등 '제적 초읽기'…고려대 200여명 복학 상담 신청
연세의대 학장 "27일까지 기다리겠다"…서울의대 학생회는 수요조사
연합뉴스

연세대, 미등록 의대생 제적 예정 통보
(서울=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연세대 의대가 학생 881명 중 1학기 등록을 하지 않은 학생 398명(45%)에게 '미등록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한 24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모습. 2025.3.24 ondol@yna.co.kr


(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권지현 기자 = 미복귀 의대생들에 대한 제적이 코앞으로 닥치자 의대생들의 동요가 커지는 모습이다.

연세대 학생들은 일단 등록한 후 휴학하는 방식으로 투쟁 방향을 전환하기로 했고, 고려대에선 제적 대상 학생들의 복학 상담 신청이 이어졌다.

27일 의료계와 교육계에 따르면 전날 연세대 의대 학생 비상시국대응위원회는 내부 논의 끝에 올해 1학기 휴학 방식을 '등록 휴학'으로 전환하기로 하고 이를 공지했다.

연세대 의대는 지난 21일 등록을 마감하고 28일 미등록생 제적 처리를 앞두고 있다. 등록은 마감됐지만 학생 복귀가 절실한 만큼 복학 관련 상담이 이어지고 있으며 등록금 납부 기한도 남아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최재영 연세대 의과대학장은 전날 "학생들과 학부모님들의 소중한 목소리를 듣겠다. 27일까지 학장실에서 여러분들을 기다리겠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발송하기도 했다.

앞서 최 학장은 최근 일부 지도교수에게 학생들의 복귀를 최대한 설득하고, 복귀 의사가 없는 학생은 등록 후 휴학을 하도록 권유할 것을 부탁하는 유인물을 전달한 바 있다.

학생들이 등록 후 휴학 방침을 밝힌 만큼 28일 전에 제적 예정자들의 추가 등록이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연합뉴스

'고려대 의대생들 돌아올까'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가 미등록 의대생들에게 제적 예정 통보를 했다. 고려대는 문자메시지와 이메일로 제적 예정 통지했고 25일 통보서를 우편으로 보낼 예정이다. 사진은 이날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의 모습. 2025.3.25 ksm7976@yna.co.kr


고려대의 경우 오는 28일로 예정된 최종 제적 처분을 앞두고 지난 25일 오후부터 제적·복학 관련 면담 신청을 받기 시작했는데, 하루 만에 215명의 학생이 면담을 신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 의대 전 학생 대표 5명이 후배들에게 보낸 실명 공개 서한도 학생들의 마음을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지난 25일 공개한 서한에서 "우리는 각자의 선택이 존중받고 어떠한 결정에도 위축되지 않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더 이상 불필요한 시선 없이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자유를 충분히 보장받아야 한다"고 밝혔다.

한 의대 교수는 "비난 등의 어려움을 감수하고 용기를 낸 학생들의 성명이, 의지에 반하는 휴학을 해야 할지 고민하던 다른 학생들에게 영향을 준 게 아니겠느냐"고 추측했다.

지난 21일 등록을 마감한 고려대 의대는 미등록 학생들에게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했지만, 아직 제적 처리를 하지는 않았다.

고려대는 학생이 면담을 원하면 제적 처분 전까지 성심성의껏 응한다는 방침이다. 다수의 교수를 투입해 면담을 진행하고 그 내용을 정리해 제적 처리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서울의대 학장단 "3월 27일 마지막 기회…복귀해달라" 거듭 호소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서울대 의과대학 학장단이 의대생들에 오는 27일을 마지노선으로 제사하며 복귀를 호소했다. 의대생들의 복귀 시한은 이달 27일 오후 5시다. 사진은 26일 서울대 의대. 2025.3.26 mon@yna.co.kr


한편, 27일이 복귀 마감 시한인 서울대 의대 학생회는 전날 밤부터 전체 학생을 상대로 등록 여부와 관련한 투표를 실시하고 있다.

이날 오전 마감되는 투표 결과가 서울대 의대생들의 움직임과 직결될지는 미지수지만, 결과에 따라 서울대도 '투쟁 방식'에 변화를 줄 수도 있다.

이러한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는 전날 상임이사회에서 제적 시한 연기 요청 등을 논의했으나 뚜렷한 결론을 내진 못했다.

김성근 의협 대변인은 "여러 가지 의견을 듣는 정도였고 의협의 기본 입장은 의대생 생각이 중요하다는 것"이라며 "의대생들의 입장 정리를 기다리고 최종 입장을 존중하겠다"고 방침을 정했다.

fat@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시스사회복지종사자 10명 중 7명 이직 생각…저임금·갑질 등 이유
  • YTN[현장영상+] 산청·하동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잔불 진화 체계로 변경"
  • 한겨레윤석열 탄핵심판 4월18일 넘기는 ‘최악 경우의수’ 우려까지
  • 한국일보처제 신용카드로 '카드깡'… 대법 "친족상도례 면제 안 돼… 피해자는 카드사"
  • 뉴스1성인 10명 중 7명 "한방치료 경험"…근골격계 질환 가장 많아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