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연합뉴스] |
의과대학 정원 증원에 반발해 무더기로 휴학한 의대생들이 제적 위기에 처하자 뒤늦게 추가 복학 절차를 문의하고 있다.
2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고려대 의대는 올해 1학기 미등록·미복학자들을 제적 처리하기로 했다. 정원의 절반가량으로 추산된다. 고려대 의대는 전국 40개 의대 중 처음으로 제적을 확정했다.
이에 등록 기한을 연장하고 복학 절차를 안내해 달라는 문의가 쏟아졌다.
교수들은 면담 결과를 종합해 학교와 협의를 거쳐 최종 의사결정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등록 마감과 제적 처리를 앞둔 연세대 의대와 전남대 의대에서도 추가 복학 상담이 이뤄지고 있다.
일정 마감 이후 접수된 복학 신청 건을 승인할 수 있는지 내부 규정을 검토 중이다. 울산대 의대도 이날 자정까지 등록하지 않은 학생은 제적 대상이 된다.
[사진 = 연합뉴스] |
대규모 제적 사태가 현실할 가능성이 커지자 처음으로 복귀를 존중하자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김다은 제35대 고려대 의예과 학생회장 등 5명의 학생대표는 지난 25일 ‘존경하는 고려대 의대 학우 여러분께’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통해 “리스트 작성 및 공유, 무분별한 마녀사냥, 서로에 대한 비난과 감시 등이 이 사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더는 불필요한 시선 없이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자유를 충분히 보장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대 의대생들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도 등록·휴학 여부 투표를 진행했다. 투표 결과를 집계한 뒤 등록 및 휴학과 관련해 의견 수렴에 나설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대 의대생들은 지난 1월에도 복학 여부를 놓고 비공개 투표를 했다. 당시 복귀 찬성 의견은 23%로 지난해(17%)보다 많았다.
다만 교육부는 여전히 정부 차원에서의 미등록 의대생에 대한 별도의 구제책은 없다는 입장이다.
교육기관이 자체적으로 뒤늦게 복학생을 받아주는 것도 학칙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만 가능하다. 대학들은 의대생들이 복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