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위기의 더본코리아'..백종원 주총 현장 등판할까?

0
댓글0
파이낸셜뉴스

백종원 대표가 2018년 국정감사에서 참고인으로 발언하는 장면.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빽햄 성분·가격 논란으로 촉발된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에 대한 여론이 악화일로를 지속하는 가운데 오는 28일 예정된 더본코리아 주주총회에 백종원 대표가 등판할지 주목된다. 백 대표는 그동안 미디어를 통해 알려진 선한 사업가 이미지와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해 왔으나 최근 여론이 돌아서며 회사의 주가는 물론 주요 사업에도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26일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는 본지 기자와의 통화에서 주주총회 참석 여부를 묻는 질문에 즉답을 피하고 "다음에 상황이 좋아지면 잘 설명할 것"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11월 주식 시장에 상장한 더본코리아는 오는 2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인근에서 상장 이후 첫 주주총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더본코리아 측은 현재 주총 당일 백종원 대표나 강석원 공동대표의 주주총회 참석 여부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백 대표는 여러차례 위기가 있을 때마다 언론과 미디어 유튜브 등을 적극 활용하며 이를 극복해 왔다. 예를 들어 2018년 10월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골목상권을 죽이는 것 아니냐는 국회의원의 질의에 백 대표는 "골목상권을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본사가) 가맹점주를 도와 자영업자인 사장님이 돈을 잘 벌게 해주는 것"이라는 답변으로 공감을 얻었다.

지난해에 연돈볼카츠 과장 광고 등으로 피해를 본 점주들이 기자회견을 통해 공론화를 시켰을 때도 백 대표는 본인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가맹점주의 평당 매출은 증가했고, 반면 본사의 영업이익률은 줄어들었는데 이는 가맹점과 상생 경영을 해온 것 때문"이라는 취지로 설명했다. 당시에도 비난 여론은 컸지만 백 대표의 설명으로 여론은 잠잠해졌다.

하지만 빽햄 논란의 경우 여론은 다른 반응을 보였다. 경쟁사 캔햄 대비 돼지고기 함량은 낮고 가격이 비싸다는 지적에 대해 백 대표는 "소량 생산 제품이라 가격이 비쌀 수 밖에 없다"는 취지로 해명했으나 애초에 높은 가격을 측정하고 할인율이 큰 것처럼 광고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말끔히 해명하지 못했다. 이어 온라인상 원산지 표기 문제, 농지법 위반 의혹, 레시피 도용 논란 등이 이어졌다. 온라인 상에서는 백 대표의 과거 방송 내용을 언급하며 '내로남불'을 지적하는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 이에 백 대표는 지난 13일과 19일 각각 더본코리아 홈페이지를 통해 두 차례 사과문을 올리기도 했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지금 혹은 미래의 적절한 타이밍에 백종원 대표가 직접 등판해 여론을 잠재울 필요가 있다고 본다"며 "다만 이번 위기는 '백종원은 곧 더본코리아'라는 전형적인 CEO 리스크 상황으로 향후에는 법인과 개인을 분리해 경영하는 편이 낫다고 본다"고 말했다.

파이낸셜뉴스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이사. 뉴시스


hwlee@fnnews.com 이환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서울경제세계적 투자 대가 짐 로저스, 美 주식 팔고 새로 산 종목은[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 헤럴드경제3월엔 진정? 5대 은행서만 주담대 1.5조 늘었다…집 계약 후 승인 앞둔 대출 ‘복병’ [머니뭐니]
  • 뉴시스"더 작고 빠른 저전력 반도체 나온다"…차세대 소재 저온 결함 제거 기술 개발
  • 한겨레용접 검사도 4족 로봇이…자동차 공장의 미래 현대차 메타플랜트
  • 뉴스155세 이상 근로자 '열에 셋'은 최저임금도 못 받는다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