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알박기 인사 멈춰야" 국악계 반발에도...문체부 "소수 의견일 뿐"

0
댓글0
내란 사태 뒤 국악원장 모집 방식 바꿔
민간 전문가 아닌 일반 공무원도 가능
김 여사 '황제관람' 논란 얽힌 공무원 지원
국악계 "예술 무시한 '알박기' 인사" 반발
문체부 "소수가 반발하는 것" "문제 없어"


[국립국악원 관치행정 반대 기자간담회/서울 종로·어제(25일) 오전]

국악계가 이번 인사를 사실상 '알박기' 라 주장하는 근거는 임명 방식을 바꾼 시점입니다.

지난해 6월 초, 김영운 원장이 퇴임한 뒤 민간 전문가를 대상으로 국악원장 공개 모집을 했다 적임자가 없어 무산됐는데 내란 사태가 터진 뒤, 공무원도 이 자리에 지원할 수 있게 대통령령으로 제도를 바꾼 겁니다.

[김영운/전 국립국악원장]

국정 혼란기에 아마 대통령 권한 대행의 재가를 거쳐서 규정이 바뀌지 않았겠습니까? 그렇게 급하게 규정을 바꾸어놓고 정작 바뀐 규정에 의해서 첫 번째 공모에, 문체부 고위 공무원이 응모를 했다.

해당 공모에 응한 공무원은 유병채 문체부 실장으로, 지난해 가을, 김건희 여사의 KTV 국악공연 '황제관람' 논란이 불거졌을 때 국회서 위증한 인물입니다.

[윤미용/전 국립국악원장(현 비대협 대표)]

행정직 출신 원장 임명은 국악의 정체성과 국악계의 전문성을 무시하는 처사이다.

논란이 일자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국악계 80% 이상이 반대하면 재검토하겠다"고 했지만, 국악계는 이 발언이 사실상 임명 강행을 의미한다고 주장합니다.

[김희선/국립국악원 전임 연구실장]

법령에 근거가 없는 매우 임기응변식의 여론전이라고 저희는 판단합니다. 책임자라고 하는 장관님이 그렇게 여론전을 펼치시고. 철회할 의지가 없다는 것과 같은 결이라고 생각을 하고요.

문체부는 기자 회견을 두고 국악계 '소수 의견'으로 보고 있다며 "임명 확정 전, 의견 수렴 과정은 거치겠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아직 논의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강나현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JTBC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YTN경찰, 장제원 '성폭력 혐의' 피해자 조사...과거 글 확보
  • MBC[단독] 경찰, 성폭력 피해 상황 쓴 3년 전 글 확보‥장제원, 경찰조사서 혐의 전면부인
  • 더팩트[포토 르포] '역대 최악 규모' 꽃 피는 4월의 문턱…'잿빛으로 변한 경북'
  • 한국일보복지관 20곳 줄줄이 탈락한 사회복지사… 그 뒤엔 시설장 횡포 있었다
  • 매일경제[단독] ‘괴물 산불’ 일으킨 실화자 또 있다...농사용 쓰레기 태우다 화재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