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경기도 평택시 해군 제2함대 사령부에서 열린 ‘제15주기 천안함 46용사 추모식’에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성일종 국회 국방위원장 등이 참석해 있다. [사진 출처 = 공동취재단, 연합뉴스] |
천안함 피격사건 15주기를 맞은 26일 국민의힘 지도부가 천안함 46용사 추모식에 참석했다. 당 차원에서 보수 정당 이미지를 제고하려는 시도란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여권 주요 인사들도 최근 안보 관련 행보에 속속 나서는 모습이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오전 10시께 경기도 평택 소재 해군 2함대사령부에 열린 천안함 46용사 추모식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는 권 위원장 외에도 김상훈 정책위의장, 이양수 사무총장, 성일종 국회 국방위원장 등 여당 인사들이 대거 함께했다.
권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우리 서해를 지키고 대한민국을 지키다 사망하신 천안함 46용사와 한주호 준위의 희생과 헌신에 다시 한번 경의를 표한다”며 “시간이 오래 지났지만, 여전히 희생자들을 가슴에 묻고 있을 유가족들께도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비슷한 시각 권성동 원내대표는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천안함 46용사 묘역을 참배했다. 그는 방명록에 ‘천안함 용사들의 위국충정 정신을 본받아 대한민국을 지키고 작금의 국정 혼란을 수습하며 국민통합을 이뤄내겠다’고 적었다.
권 원내대표는 특히 시신을 찾지 못한 강태민 상병, 김선호 병장 등의 묘비 앞에서 무릎을 꿇고 이들의 사진을 어루만졌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천안함 피격 15주기를 앞두고 26일 오전 국립대전현충원 천안함 46용사 묘역을 찾아 참배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그러면서 “(천안함 피격) 당시 좌파 시민단체나 더불어민주당에서조차도 자폭설, 자작설 등을 터뜨리면서 나라를 위해서 희생·헌신하신 용사들의 명예를 폄훼한 발언이 많이 나왔다”며 “지금도 잘못을 인정하거나, 사과가 전혀 없다”고 비판했다.
지도부 차원에서 천안함 용사 추모에 나선 것과 별개로도 여권 인사들은 최근 안보 관련 행보에 잇달아 나서고 있다.
국민의힘 잠룡인 한동훈 전 대표도 제2연평해전에서 전사한 고(故) 한상국 상사의 아내 김한나씨 등과 함께 전날 대전현충원을 찾아 연평해전 용사들의 묘역을 참배했다.
이 자리에서 한 전 대표는 “제1연평해전과 그 이후 (해전에서) 피해를 입고 고통을 받은 분들의 전상(戰傷)을 인정하지 않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대단히 잘못됐다”며 “고동진 의원이 관련 법률 개정안을 발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의 중진인 나경원 의원도 같은 날 해양 안보와 관련해 정치권의 대응을 촉구했다. 나 의원은 국회에서 ‘중국의 서해공정 긴급대응 토론회’를 주최하고 자신이 발의한 ‘서해주권 수호 결의안’에 동참해줄 것을 동료 의원들에게 당부했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여당 의원들도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중국이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에 불법 구조물을 무단 설치한 것과 관련, “친중 정책으로 일관한 문재인 정권의 안이한 대응이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는 사태까지 키운 것”이라고 비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