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카카오 정신아 "현재 '다음' 매각 계획없어…직원 뜻 전부 반영"

0
댓글0
정기 주총 후 "다음은 독립 서비스…분사 후 성장 가능성 충분"
노조, 주총 전후로 분사 반대 피케팅
뉴스1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화섬식품노조) 카카오지회(크루유니언)는 카카오 정기 주주총회가 열리는 26일 오전 제주 카카오 본사 앞에서 피켓을 들고 다음 분사 중단을 촉구했다.. 2025.03.26. ⓒ 뉴스1 신은빈 기자


(제주=뉴스1) 신은빈 기자 = 정신아 카카오(035720) 대표가 포털 '다음' 분사와 관련해 현재로서는 매각 계획이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번 분사는 구조조정을 염두에 둔 조치가 아니며 구성원들의 의사를 인사에 전부 반영하겠다고도 전했다.

정 대표는 26일 제주 카카오 본사에서 열린 제30기 정기 주주총회가 끝난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다음 분사 이후) 현재 매각 계획은 아예 없다"며 "좋은 회사를 만들자는 게 더 중점"이라고 말했다.

정 대표는 다음은 독립 서비스라는 점에서 카카오의 기존 분사 사례와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존에는 신규 사업을 분사하거나 새로운 사업 성장 동력을 위해 분사하는 경우가 있었다"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새로운 기업 간 거래(B2B) 사업을 위해 분사했던 것"이라고 예를 들었다.

그러면서 "다음은 포털 사업으로서 독립적인 사업 가능성이 충분하다"며 "현재처럼 카카오 안에 있을 때는 구조적으로 성장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독립 경영 구조와 자율적인 실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지금의 이용자 수를 더 늘릴 수 있겠다는 생각이 컸다"고 말했다.

분사 이후 직원들의 인사 배치는 의향을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계획도 덧붙였다.

정 대표는 "지금 생각하는 절차는 (직원들) 의향을 묻고 이동하는 것"이라며 "극단적으로 말하면 모두 카카오 본사에 남고 싶다고 했을 때 그렇게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다음에 오래 있던 직원들을 생각했을 때는 오히려 계속 함께 가고 싶은 구조를 만들어 주는 게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직원들에게 다음의 비전과 미래를 공유하고, 훌륭한 인력들이 모일 수 있도록 다음의 지속 성장성을 확보하는 게 가장 큰 과제"라고 했다.

카카오 노동조합 크루유니언은 회사가 포털 사업을 성장시킬 뚜렷한 계획이 없는 상황에서 일방적인 분사를 결정했다며 반대하고 있다. 국내 검색 시장에서 다음의 점유율은 2%대로, 마이크로소프트 '빙'(Bing)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이와 관련해 정 대표는 "카카오 내부에 다음이 있을 때 안아야 하는 여러 비용 부담을 분사를 통해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1년 정도로 기간을 잡고 노력한다면 분사 전보다 훨씬 사업 수익이 잘 나올 것이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크루유니언은 이날 주총이 열리기 전부터 끝난 이후까지 주총장 앞에서 다음 분사 중단을 요구하는 피케팅을 진행했다.

bea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스1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경향신문사람 목소리 구별하는 빅스비···삼성, 2025년형 비스포크 AI 라인업 공개
  • 매일경제검색창에 AI 심은 네이버, 구글과 비교해보니···“한국 특화 질문에 강하다”
  • 헤럴드경제“방향제 향기 좋은줄만 알았는데” 충격 결과…뇌 신경 독성유발 가능성↑
  • 전자신문70만 공무원 쓰는 '온-나라 시스템', AI·클라우드로 새단장
  • 파이낸셜뉴스"네이버에 폭싹 속았수다 검색해보니..." 全서비스에 인공지능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