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서울 파산신청자 10명중 8명 ‘50대 이상’…“생활비 부족” 가장 많아

0
댓글0
중앙일보

2024년 개인파산신청자 분석 인포그래픽. 사진 서울시


지난해 서울 개인파산 신청자 10명 중 8명은 50대 이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복지재단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지난해 들어온 개인파산 신청 1314건 중 유효한 데이터 1302건을 분석한 ‘2024년 파산면책 지원 실태’를 26일 발표했다.

2024년 서울회생법원에 접수된 개인파산 신청 8728건 중 15.0%인 1314건이 해당 센터에 접수됐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청자의 86%는 50대 이상 중장년층이었다. 이 가운데 60대가 39.6%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이어 50대가 22.7%이었고 70대 19.0%, 80대 4.9%였다.

50대 이상은 통상 경제 활동이 축소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 생활비 부족과 상환능력 저하로 개인파산 신청이 발생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파산 신청자 중 남성은 61.8%, 여성은 38.2%였다.

성별로는 남성이 61.8%, 여성은 38.2%였다.

기초생활수급자 비율은 83.9%로 최근 3년간 80% 이상을 유지하고 있다.

가구 유형으로 분석하면 1인 가구가 68.4%로 가장 많았다. 1인 가구 비율은 2022년 57.3%에서 2023년 63.5%, 지난해 68.4%로 뛰는 등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2인 가구는 18.8%, 3인 가구는 7.6%였다.

채무 발생 원인을 복수 응답으로 물은 결과 ‘생활비 부족’이 74.5%로 가장 많았다. ‘사업 경영파탄’은 27.9%였다.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사기 피해’도 15.5%를 차지했다.

파산에 이른 배경으로는 ‘원리금이 소득을 초과’가 90.2%였고, ‘실직’(58.4%), ‘경영 악화로 인한 폐업’(31.3%) 등이 중복 응답으로 나타났다.

파산신청자 중 직업이 없는 경우는 85.6%였고 채권자가 4명 이상인 다중채무자는 62.7%였다.

신청인 가운데 82.0%는 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었고 이 가운데 69.2%는 보증금 600만원 미만 주택에 거주하고 있었다.

자산총액 1200만원 미만은 90%로,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자산이 절대적으로 부족했다.

총 채무액은 신청자의 과반인 60.1%가 1억원 미만이었고 ‘5000만원 이상~1억원 미만’ 구간이 25.2%로 가장 많았다.

2013년 7월 개소 한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는 가계 빚으로 고통받는 서울시민 1만3478명의 총 3조6118억원의 악성 부채에 대한 법률적 면책을 지원했다. 센터는 현재 서울 전역에 11개소를 운영 중이며 전화 상담도 가능하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스핌100㎝ 낙엽층 숨은 불씨에 재발화 지속…산청 산불 진화율 99%여도 '불안'
  • 한겨레남부 지역엔 벚꽃, 중부 지역엔 눈보라…이상 현상에 시민들 “황당”
  • 노컷뉴스길어지는 尹탄핵심판, 계속되는 극우집회…"재판관들 감방에 처넣겠다"
  • 연합뉴스TV[뉴스초점] '동시다발 산불' 대부분 실화 원인…처벌 수위는?
  • 매일경제변수 사라지고 평의 시간 빨라졌다…‘尹 탄핵심판’ 헌재, 선고 임박했나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