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검게 그을린 목줄에 묶여…화마에 떠는 반려동물들

0
댓글0
서울신문

동물보호단체 ‘위액트’가 경북 북부 산불 피해 지역에서 목줄에 묶인 채 대피하지 못한 반려동물들을 구조하고 있다. 자료 : 위액트 인스타그램


산불이 닷새째 경북 북부 지역을 휩쓸고 있는 가운데, 화재 현장을 미처 대피하지 못한 동물들에 대한 동물보호단체의 손길이 이어지고 있다.

26일 동물보호단체 ‘위액트’는 지난 23일부터 산불이 발생한 경북 지역에서 동물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단체는 “산불 발화 지점부터 수색을 시작해 인근 대피소를 찾아가 주민들에게 미처 대피하지 못한 동물이 있는지 확인했다”고 전했다.

단체는 화재로 폐허가 된 민가 인근에서 고무 재질의 집 안에 웅크리고 있던 반려견을 발견했다. 현장에서 만난 반려견의 보호자는 “긴급한 상황에 차마 목줄을 풀 수 없었다”며 단체에 반려견을 부탁했다.

단체는 “쇠 목줄에서 그을린 숯덩이가 바스러졌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단체는 반려견을 품에 안아 병원으로 이송했다.

서울신문

동물보호단체 ‘위액트’가 경북 북부 산불 피해 지역에서 목줄에 묶인 채 대피하지 못한 반려동물들을 구조하고 있다. 자료 : 위액트 인스타그램


또 다른 화재 현장에서는 불에 타 녹아내려 불꽃이 튀는 전깃줄 바로 옆에 한 반려견이 목줄에 묶인 채 떨고 있었다. 단체는 반려견의 목줄을 풀고 안은 채 산을 내려왔다. 단체 측은 반려견의 보호자를 수소문하고 있다.

단체는 “급박한 재난 속에서도 가족 같은 반려동물을 지키기 위해 애쓰는 사람들이 있다”면서 “불에 타버린 마을을 수시로 드나들며 밥과 물을 챙겨주고, 차에 태워 안전한 곳으로 옮기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재난 시 대피소에는 통상 반려동물을 동반할 수 없어, 집을 잃은 주민들이 반려동물을 데리고 마땅히 대피할 곳이 없는 것이 현실이라고 단체는 부연했다.

산불과 같은 재난이 발생했을 때 목줄에 묶여 있거나 축사 등에 갇힌 동물들이 재난을 미처 피하지 못하고 죽는 사례가 적잖다.

다만 지난 2023년 강원 강릉 산불 당시에는 소방대원들이 긴박한 진화 작업 도중에도 주인을 잃은 반려동물의 목줄을 풀어 반려동물의 피해가 크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신문

동물보호단체 ‘위액트’가 경북 북부 산불 피해 지역에서 목줄에 묶인 채 대피하지 못한 반려동물들을 구조하고 있다. 자료 : 위액트 인스타그램


김소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한국일보부산 덕성원 끌려가 노예처럼 산 아이들…그곳은 지옥이었다 [사건 플러스]
    • 연합뉴스TV[날씨] 내일 새벽까지 전국 비바람…찬 바람 불며 기온 뚝
    • 서울경제한덕수·토허제·명태균 탓?···오세훈, 대선출정식 전날 '돌연 불출마'
    • TV조선강풍에 나머지 실종자 수색 어려움…귀가 주민들 "안전 못 믿어"
    • 머니투데이"유산 전날에도 성관계 요구"…남편에 살해당한 아내의 생전 발언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