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
김다은 제35대 고려대 의예과 학생회장을 비롯한 전 의과대학 학생대표 5인은 지난 25일 입장문을 내고 “서로를 배려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는 것이야말로 이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는 데 가장 중요한 힘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현 사태가 1년 넘게 지속되며 리스트 작성 및 공유, 무분별한 마녀사냥, 서로에 대한 비난과 감시 등이 이어지는 동안 학우들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라면서도 “그간 책임은 오롯이 개인의 몫이었으니 선택은 온전한 자유 의지로 내릴 수 없는 분위기였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각자의 선택이 존중받고 어떠한 결정에도 위축되지 않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고려대는 지난 21일 문자 메시지와 이메일로 제적 예정을 통지하고 4일 뒤인 25일에는 통보서를 우편으로 보냈다. 학교로 돌아온 이들은 절반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를 비롯해 26일 기준 등록을 마감한 연세대, 경북대, 전남대 등은 미복귀자를 대상으로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했거나 발송할 예정이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국장은 지난 24일 브리핑에서 “정부가 여러 차례 원칙을 밝혔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학사유연화나 휴학 승인 조치를 해줄 것이라고 알고 있다고 들었다”며 “올해는 더 이상 대규모 학사유연화를 하기 어렵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