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5월부터 이공계 전일제 대학원생 월 80만원 받는다

0
댓글0
과기정통부, R&D 예타 면제 사업비·기간 확정
이공계 연구생활 장려금 9년간 9790억원 투입
한국형 mRNA 백신은 2028년 품목 허가 목표
뉴시스


[서울=뉴시스] 박은비 심지혜 기자 = 정부가 이공계 대학원생에게 매달 일정 금액의 지원을 보장하는 학생인건비 사업에 9년간 9700억원을 투입한다. 올해는 29개 대학을 대상으로 5월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주재로 올해 제2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총괄위원회’를 열고 이공계 대학원 학생인건비 지원 사업(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지원)의 적정성 검토 결과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공계 연구생활장려금 사업은 연구 활동을 하는 이공계 전일제 대학원생의 경제적 안전망을 확충하고 처우 수준을 개선하는 연구개발(R&D) 지원제도다. 석사과정 최소 월 80만원, 박사과정 최소 월 110만원을 지원한다. 이는 지난해 8월 국무회의에서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받았다.

이날 총괄위를 통해 사업계획 적정성 검토가 확정되면서 과기정통부는 올해부터 2033년까지 9790억원을 투입한다. 과기정통부는 오는 5월부터 29개 대학을 대상으로 예산을 집행한다.

총괄위는 또다른 예타면제 대상인 질병관리청의 '팬데믹 대비 mRNA 백신개발 지원사업'에 대해 올해부터 2028년까지 4년간 5052억원을 투입하는 것을 확정했다

팬데믹 대비 mRNA 백신개발 지원사업은 미래 팬데믹 재난이 발생했을 때 안정적으로 백신을 공급하기 위해 mRNA 백신 플랫폼을 개발해 비임상부터 품목 허가까지 지원하는 사업이다.

적정성 검토 결과 확정에 따라 사업 첫 단계인 mRNA 백신 비임상 4개 과제 지원이 시작된다. 이후 임상 1~3상 단계를 거쳐서 사업을 마치는 2028년에는 품목 허가를 받는 게 목표다.

이번 사업으로 mRNA 백신 신속 개발 플랫폼을 확보하면 이후 미래 팬데믹 위기 상황에서 최대 200일 안에 초고속 백신 개발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류 본부장은 "지난해 국가적 시급성이 높은 사업들을 선별해 최소 1년은 사업 착수를 앞당길 수 있었다"며 "기존 예비타당성 제도 틀 내에서도 연구개발(R&D) 유연성과 신송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궁극적으로 R&D 예비타당성 제도 폐지 등을 차질 없이 완수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ilverline@newsis.com, siming@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시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헤럴드경제“아이폰 300만원 된다?” 관세 폭탄에 ‘초비상’…“이러다 다 죽어” 아우성
  • 뉴시스코로나 이겼던 'mRNA 백신' 원리 韓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규명
  • 조선비즈美 관세 폭탄, 당장은 삼성보다 애플에 악재지만… 트럼프가 아이폰에 면죄부 주면 상황 반전
  • 아시아경제치료효과 높일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사이언스 게재
  • 비즈워치[차이나 바이오]①중국계에 이전했더니 신약 가치 '확'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