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의대 [사진 = 연합뉴스] |
연세대 등 의과대학들이 24일 미등록 학생에 대한 제적 절차를 시작했다. 교육부와 다른 의대들도 “수업에 복귀하지 않은 학생은 학칙대로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연세대는 이날 마감 시한인 21일까지 복학 신청서를 내지 않은 학생 400여명에게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한다. 이 학교 의대 예과·본과생의 약 45%에 해당하는 인원이다.
연세대 의대 측에 따르면 통보서에는 등록 마감일인 이달 28일까지 등록금을 내지 않으면 제적 처리되니 유의해야 한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이번 주부터 다음달 초 사이 복학·등록 절차 마감일을 둔 다른 의대들 역시 학칙에 따라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의과대학선진화를위한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이날 미복귀 학생에 대한 각 대학의 제적 예정 통보일자와통보 방식, 효력 발생일 등 취합하기 시작했다. 양오 의총협 회장(전북대 총장)은 “40개 대학이 의대 문제 해결을 위해서 원칙대로 함께 대응해야 한다”고 재차 주문했다.
교육부도 엄정 대응 방침을 내놨다. 김홍순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은 이날 “올해도 교육부가 학사유연화나 휴학 승인 조치를 해줄 것이라는 주장이 일부 의대생들 사이에서 돌고 있다고 알고 있다”며 “하지만 수차례 밝혔던 대로 올해 더는 대규모 학사유연화를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김 의대교육지원관은 이어 “미등록 제적생에 대해 별도 구제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고, 모든 학사는 여러 차례 말했 듯 다 학칙에 따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가운데 일부 대학에서는 수업 복귀자 증가에도 수업이 정상화될지는 미지수라는 의견이 나온다. 대부분 학교는 복귀자 보호를 이유로 학생 복귀율, 수업 운영 여부 등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복귀자 명단 공유 등을 통한 휴학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이날 의사 커뮤니티인 메디스태프에는 “○○대 복귀자 명단을 보내달라”는 글들이 줄을 이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