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는 24일(한국시간) 더닝을 웨이버 공시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웨이버 공시 기간 동안 더닝을 데려갈 팀이 나타난다면 내줘야 한다. 반대로 원하는 팀이 없을 경우는 마이너리그로 내릴 수 있다. 더닝으로서는 일단 메이저리그 로스터에서 개막을 맞이하는 시나리오는 불발됐다. 다만 팀 훈련에 계속 참여할 수 있고, 선수단과 동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가지 흥미로운 것은 텍사스의 방식이다. 텍사스는 더닝을 양도선수지명(DFA) 하지 않았다. 웨이버 공시를 했다. 둘 사이의 차이점은 연봉 지급 의무다. 더닝을 DFA 할 경우 새로운 영입 팀이 나와도 텍사스는 더닝의 올해 연봉 약 235만 달러를 그대로 지급해야 한다. 데려가는 팀은 메이저리그 최저 연봉으로 더닝을 활용할 수 있다. 반대로 웨이버의 경우 데려가는 팀이 더닝의 연봉을 다 떠 안아야 한다.
어쨌든 더닝으로서는 허탈한 일이다. 2020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에서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더닝은 2021년 텍사스로 이적한 뒤 궂은 일을 했다. 매년 확고 부동한 선발 로테이션 멤버는 아니었지만 이상하게 매년 선발 투수들의 부상 이탈이 나왔고, 그럴 때마다 선발 로테이션에 임시로 들어가 활약했다. 그러다 보니 선발 경력도 꽤 쌓였다. 2021년 25경기, 2022년 29경기, 2023년 26경기에 선발로 뛰었다.
2023년에는 시즌 35경기 중 26경기를 선발로 나가 12승7패 평균자책점 3.70을 기록하며 전성기를 누리는 듯했다. 당당한 선발진의 일원으로 인정받았다. 무려 172⅔이닝을 던지며 공헌도가 높았다. 텍사스 선발진의 숨은 영웅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26경기(선발 15경기)에서 5승7패 평균자책점 5.31에 그치면서 위기가 찾아왔다. 자리 싸움이 치열해졌고, 결국 그 경쟁에서 밀렸다.
더닝은 올해 스프링트레이닝에서도 선발 기회는 얻었지만 부진했다. 5경기에서 한 차례 선발로 나왔고, 평균자책점 8.18에 머물렀다. 기용 방식부터 선발보다는 롱릴리프 쪽에 더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결국 텍사스는 더닝이 팀에 없어도 되는 자원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텍사스는 팔꿈치 수술에서 돌아온 제이콥 디그롬의 풀타임 시즌이 예상되는 가운데 네이선 이볼디, 타일러 말리, 존 그레이, 잭 라이터 등 다른 선발 자원들이 있다. 더닝이 이 경쟁에서 밀렸다.
차라리 더닝을 클레임하는 팀이 있다면 선발 기회가 보장되는 팀에서 뛰는 게 나을 수도 있다. 결과가 주목되는 이유다. 지난해 약간 부진했고 나이가 적지는 않지만 235만 달러에 150이닝 이상을 던져줄 수 있는 선수다. 리빌딩 팀에서는 고려할 수 있는 자원이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