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미국 증시 하락의 원흉 美 M7···중국판 M7 주가 폭등에도 여전히 ‘저평가’

0
댓글0
M7, 위대하긴커녕 ‘해롭다’ 의견도
항생테크 30% 오를때 나스닥은 -6%

중국판 M7은 여전히 저평가 국면
中 두고 “계속 오른다” vs “곧 조정 올 것”


매일경제

미국 매그니피센트7 YTD(2024년 12월 31일~2025년 3월 21일) 수익률. <사진=스톡 애널러시스 갈무리>


수년 동안 미국증시를 이끌었던 ‘매그니피센트7(M7)’ 기업들이 올해는 미국 증시의 하락세를 가속화하는 원흉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들 기업은 올해 들어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이다. 반면 ‘중국판 M7’ 기업들은 주가 상승 폭을 최대 60%까지 키우는 한편, 여전히 주가가 저평가 상태로 분석된다.

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미국 M7 기업들은 일제히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연초 대비 엔비디아와 테슬라는 각각 14%, 34%의 손실을 기록하고 있다. 구글(-12%)과 애플(-10%), 아마존(-10%)과 마이크로소프트(-6.5%)도 마찬가지로 마이너스다.

지난달 중순까지 20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나스닥에서 기록을 썼던 메타(-0.5%)마저 이달 들어서는 손실 구간으로 접어들었다.

M7 기업들의 주가 하락세가 미국 증시의 상승을 막고 있다는 분석마저 나온다. 데이비드 코스틴 골드만삭스 미국자산전략가는 “매그니피센트7은 이제 ‘맬리피센트(Maleficent·해로운)7’이 됐다”면서 S&P500지수의 올해 말 목표치를 6500에서 6200으로 하향 조정했다.

반대로 중국증시는 대형 기술주의 폭발적인 주가 성장에 힘입어 말 그대로 승승장구다. 올해 항셍테크지수는 29.4% 상승해 미국 나스닥 100지수가 -5.8%에 그친 것과 대비된다.

매일경제

중국 7대 기술주 홍콩증시 YTD(2024년 12월 31일~2025년 3월 21일) 수익률. 좌측(파랑)부터 순서대로 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샤오미, SMIC, BYD, 메이퇀. <사진=스톡 애널러시스 갈무리>


BATX(바이두, 알리바바, 텐센트, 샤오미)와 반도체 파운드리사인 SMIC, 전기차 회사 BYD, 배달 플랫폼 회사 메이퇀은 올들어 모두 주가 상승 폭을 키웠다.

알리바바와 샤오미는 올해 60% 폭등했으며, SMIC도 61% 급등했다. 같은 기간 BYD는 37% 상승했고, 텐센트(23%)·바이두(13%)·메이퇀(11%)도 일제히 올랐다.

중국증시의 ‘테리픽 10’을 나열할 때 거론되는 핀둬둬(30%), 징동닷컴(23%), 지리차(18%), 레노버(15%), 넷이즈(8%) 등 역시 상승 대열에 서 있다.

특히 1분기가 채 지나기도 전에 폭발적인 주가 상승을 이뤄내고 있음에도, 여전히 중국 M7 기업들은 미국의 원조 M7보다 저평가된 것으로 확인된다.

미래 12개월의 수익 예상치와 현재 주가 수준을 비교하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 분석 결과, 샤오미(42)와 SMIC(59)를 제외하면 모두 동종의 미국 기업보다 저평가 국면에 있었다.

선행 PER은 수치가 클수록 기업이 벌어들일 수 있는 수익에 비해 주가가 비싸다는 것을 뜻한다.

전기차 자율주행 기업인 BYD(23)와 테슬라(89)는, 선행 PER 격차가 약 4배다.

검색 엔진 기반의 바이두(9)와 구글(18), 전자상거래 기업인 알리바바(13)와 아마존(29), 텐센트(18)와 마이크로소프트(26)를 비교해도 중국 기술주들의 저평가 현상은 두드러졌다.

글로벌 투자은행 사이에선 중국 증시가 기업 펀더멘털보다 저렴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UBS는 “현재 중국 증시는 다른 신흥시장보다 20% 할인된 가치”로 평가했다. JP모건도 중국 기술주의 향후 10년간 연평균 수익률이 7.8%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중국 증시가 단기간에 큰 폭으로 오른 만큼 조정장의 도래는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지난 19일 “중국증시 랠리는 주가가 폭락했던 2015년 사례와 비슷하다. 곧 의미 있는 조정이 올 것”이라고 관측했다.

실제로 항셍테크지수는 지난 20~21일 이틀 만에 6.65% 하락해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큰 하락 폭을 기록했다.

향후 중국 기술주의 주가 방향은 실적 개선세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김경환 하나증권 중국·신흥국 주식 파트장은 “중국 기업들의 장기 할인이 해소됐다”며 “펀더멘털과 자기자본이익률(ROE) 개선에 대한 시장 눈높이가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스1中 철강 저가 공세 '막 내리나'…1Q 수입량 18.9%↓, 3월 20%↓
  • 연합뉴스美입항수수료에 中가격경쟁력 하락 전망…K조선 반사이익 기대감
  • 머니투데이'트럼프 입김'에 중국산 선박 주문 급감…"점유율 가져올 기회"
  • 파이낸셜뉴스관세로 때린 뒤 '안보청구서' 내민 트럼프...美日통상전 2라운드로
  • 서울경제현대차, 하이브리드·SUV에 힘 더 준다···미래 전략 '트럼프 시프트'[biz-플러스]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