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美 2월 도매물가, 계란값 급등 불구 전월대비 보합(종합)

0
댓글0
근원물가 상승률도 0.2%로 예상 밑돌아…계란값 한달새 53.6%↑
연합뉴스

미 시카고시 식료품 매장의 계란 판매대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미 노동부는 2월 미국의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과 비교해 보합에 머물렀다고 13일(현지시간) 밝혔다.

1월 상승률(0.6%) 대비 상승 폭이 축소된 데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0.3%)를 크게 밑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3.2%였다.

에너지와 식품 등을 제외한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상승률은 전월 대비 0.2%로 역시 전망치(0.3%)를 밑돌았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3.3% 상승했다.

최종수요 재화 가격이 전월 대비 0.3% 오른 반면 최종 수요 서비스 가격이 전월 대비 0.2% 내렸다.

식품 가격이 1.7% 올랐으나 에너지 가격이 1.2% 내려 식품 가격 상승효과를 상쇄했다.

계란 가격은 전월 대비 무려 53.6% 올라 2월 최종수요 재화 가격 상승분의 3분의 2를 기여했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최근 미국에서는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계란 가격이 폭등하면서 '에그플래이션'(eggflation·계란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 우려가 제기돼왔다.

작년 12과 올해 1월 상승 폭이 컸던 최종수요 운송 및 창고서비스는 전월 대비 보합에 머물렀다.

도매물가로도 불리는 생산자물가는 일정 시차를 두고 최종 소비재 가격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받아들여진다.

전날 발표된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시장 예상보다 낮은 2.8%에 그친 데 이어 이날 생산자물가 상승률도 기대에 크게 못 미치면서 인플레이션 재상승 우려는 다소 완화하는 모습이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영향이 아직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물가 관련 경계감은 지속될 전망이다.

pa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이데일리관세 협상 기다리는 뉴욕증시, 혼조 마감…엔비디아 2%↓[월스트리트in]
  • 아주경제[통계로 보는 부동산] 상위 10곳 건설사가 수도권 65% 공급…지방 '역대 최저' 입주에 흔들리는 중견사
  • 서울경제현대차, 하이브리드·SUV에 힘 더 준다···미래 전략 '트럼프 시프트'[biz-플러스]
  • 한국일보사람은 쉽게 푸는데 AI는 포기선언... AI 한계 시험 위해 작정하고 만든 ‘최후의 테스트’
  • YTN[스타트경제] IMF "관세 전쟁으로 경제 전망 하향"...트럼프-파월 갈등 '격화'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