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캐나다 이어 호주 정부도 "미국 제품 대신 호주산 사자"

댓글0
美 철강관세 면제 실패에 앨버니지 "모두 호주팀으로 복귀해야"
호주기업 연방정부 조달 계약 문호 확대도 추진
연합뉴스

앨버니지 호주 총리
지난 12일(현지시간) 호주 시드니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가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2025.03.13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연합뉴스) 박진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일으킨 '관세 전쟁'에 맞서 캐나다와 유럽연합(EU) 등지에서 미국산 불매 운동이 번지는 가운데, 미 철강 관세를 면제받는 데 실패한 호주 정부도 호주산 제품 구매를 권장하고 나섰다.

13일(현지시간) ABC·SBS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는 이날 아침 라디오 인터뷰에서 호주 국민들을 향해 "호주산 제품 구매를 고려하기"를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그것이 여기서 일자리를 창출하고 우리 지역 산업을 지원하는 데 소비자들이 도움을 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또 오는 25일 발표될 호주 연방정부 예산에 호주산 구매(Buy Australian) 캠페인에 대한 추가 지원이 포함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더 많은 호주 기업이 연방정부 조달 계약을 따낼 수 있도록 해서 기업을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호주 연방정부의 조달 계약은 지난 회계연도에 총 1천억 달러(약 145조원)에 달했다.

앨버니지 총리는 전날도 라디오에서 "호주인은 호주산 상품을 구매함으로써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미국산 대신 번디(호주의 유명 럼주 브랜드)를 사라. 당신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때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모든 사람이 '호주 팀'(Team Australia)에 복귀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가 이끄는 노동당 정부는 그간 미국에서 철강·알루미늄 관세 면제를 끌어내려고 총력전을 펼쳐 왔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전날부터 모든 교역 상대국에 예외 없는 25%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를 개시했다.

이에 호주 정부는 실망하면서도 보복 관세 부과 등 보복 조치는 호주에 인플레이션(물가 상승)만 초래할 뿐이라면서 배제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잇따라 '저격'한 캐나다와 EU에서는 미국산 불매·자국산 애용 운동이 일고 있다.

지난 9일 총리직에서 물러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전 총리는 지난 달 캐나다 국민들에게 미국산 대신 자국산 제품을 구매하고, 올여름 휴가를 미국 말고 국내에서 보낼 것을 촉구했다.

이에 캐나다에서는 주류 등 미국산 상품을 치우고 캐나다산 제품을 눈에 띄게 배치하는 상점이 늘고 있으며, 캐나다산 상품인지 식별해주는 앱도 인기를 끌고 있다.

일부 카페들은 아메리카노(Americano) 커피 이름을 '캐나디아노'(Canadiano)로 바꾸기도 했다.

유럽에서도 스웨덴의 경우 미국 상품의 대체품을 알려주는 단체의 페이스북 그룹 가입자 수가 7만명을 넘겼으며, 덴마크 최대 식료품기업 살링 그룹은 매장에 진열된 유럽산 제품에만 검정 별이 그려진 태그를 달아 소비를 권장하고 나섰다.

jhpar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YTN"최대 23만 명 사망" 난카이 대지진 임박…한반도에도 차원이 다른 충격 [와이픽]
  • 뉴시스실종 10일만에 사지 부러진 채 발견된 여성, 성착취 의혹에 경찰 "추락사고"
  • 머니투데이1600조 美 조선시장 열리는데…한국 1, 2등은 내부총질
  • 세계일보“머스크 명백한 나치 경례…미친 짓” 머스크 딸, 공개 직격
  • 중앙일보"트럼프, 韓 불공정 무역국 지목"…상호관세, 표적관세 될 가능성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