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엔비디아 GPU 확보만 중요한 게 아냐”···AI 반도체 스타트업의 지적

댓글0
경향신문

박성현 리벨리온 대표. 리벨리온 제공


정부가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에만 몰두하기보다 국내에서 개발된 신경망처리장치(NPU)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AI 반도체 업계에서 제기됐다.

NPU 기반의 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의 박성현 대표는 지난 11일 페이스북을 통해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에서 GPU 확보만 이야기가 되는 것이 무척 아쉽다”고 밝혔다. NPU는 인간 두뇌의 신경망을 모방한 AI 반도체로 추론 영역에 특화돼 있다. 추론은 훈련된 AI 모델이 새로운 데이터에서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을 말한다.

박 대표는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는 시작부터 훈련용 인프라와 추론용 인프라를 구별했다고 한다. 훈련은 엔비디아 GPU로, 추론 트래픽은 화웨이의 NPU ‘어센드 910’으로 받아냈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대규모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 역시 기본적으로 엔비디아 GPU를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자체 설계한 칩도 추론용으로 활용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자체 설계 칩이 엔비디아보다 우수해서가 아니라, 가격·물량 면에서 엔비디아의 갑질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표는 엔비디아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경계하면서 “처음부터 엔비디아와 비(非)엔비디아 제품 2기종으로 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엔비디아 GPU가 들어오면 엔비디아의 네트워크와 소프트웨어 모두 딸려 들어온다”며 “‘엔비디아 온리’로 인프라가 구성돼버리면 이후 다른 하드웨어를 기존 인프라에 추가하는 게 상당히 어렵게 된다”고 했다.

박 대표는 “당연히 엔비디아 GPU 중심으로 인프라가 구성되어야 하지만, GPU만으로만 구성돼버리면 다음 스텝이 꼬여버린다”며 “소수 물량이라도 추론형 NPU, 비엔비디아 제품이 인프라에 포함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부의 국가 AI컴퓨팅센터 구축 실행 계획을 보면 초기에는 첨단 GPU를 우선 구축하고, 2030년까지 AI 반도체 비중을 50%까지 확대한다고 나와 있다. 박 대표는 “인프라가 처음 구성될 때 GPU와 함께 NPU가 포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앞서 NPU 기반의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가 거대 기술기업 메타와 매각 논의를 진행 중인 사실이 알려졌을 때도 열악한 국내 AI 반도체 생태계에 대한 지적이 잇따랐다. 기술력이 뛰어나도 국내에선 대규모 칩 사용처나 투자자를 찾기 힘들다는 것이다.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는 지난 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정부가 (AI 반도체) 수요 사업과 시험대(테스트베드)를 규모 있게 진행하는 것이 국내 AI 반도체 기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노도현 기자 hyunee@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계엄, 시작과 끝은? 윤석열 ‘내란 사건’ 일지 완벽 정리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경향신문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세계일보'임금근로자서 자영업 전환' 고령자 절반, 최저임금도 못 번다
  • 조선비즈은행원 평균 연봉 1억2000만원… 퇴직금 ‘12억원’ 사례도
  • 머니투데이"몸값 4조라더니 4년 만에 5000억"…거품 꺼진 K-유니콘의 현주소
  • 서울경제신림6구역, 삼성산 숲세권·초품아 990세대 단지로 재개발
  • 헤럴드경제임원은 파리목숨이라더니…내수부진 유통 대기업 줄줄이 짐쌌다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