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규제완화·금리인하에 '영끌' 꿈틀…5대은행 신규 주담대 34%↑

0
댓글0
'실수요자만 대출' 규제 풀리자…정책대출 비중 작년말 55%→2월 37%
하나·신한銀 이번주 대출금리↓…"토허제 완화도 겹쳐 주담대 상담 쇄도"
연합뉴스

규제완화·금리인하에 '영끌' 꿈틀…5대은행 신규 주담대 34%↑
(서울=연합뉴스) 김성민 기자. 사진은 23일 서울 한 은행에 주택담보대출 금리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5.2.23 ksm7976@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한지훈 민선희 기자 = 연초부터 집을 사기 위해 은행에서 이미 새로 주택담보대출을 받았거나, 받기 위해 상담을 받는 사람들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금융당국의 압박 속에 은행들이 실행한 '실수요자 위주 대출' 목적의 각종 규제가 새해 들어 하나둘씩 풀린 데다, 결정적으로 기준·시장금리 하락과 함께 대출 금리가 떨어졌기 때문이다.

더구나 최근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으로 서울 집값이 다시 들썩이고 있는 만큼, 2∼3개월 시차를 두고 본격적으로 주담대가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 2월 신규주담대 증가율 10개월내 최고

9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에서 새로 취급된 주택구입자금 목적의 신규 주택담보대출은 모두 7조4천878억원으로 집계됐다.

직전 1월(5조5천765억원)보다 34.3% 늘어난 규모로, 전월 대비 증가율 기준으로는 지난해 4월(34.8%) 이후 가장 높다.

취급액(7조4천878억원) 자체도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 열풍이 한창이던 작년 9월(9조2천88억원) 이래 최대 기록이다.

이처럼 주택구입을 위한 신규 대출은 올해 들어 뚜렷하게 증가하는 추세지만, 반대로 이 가운데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 대출의 비중은 계속 줄어들고 있다.

5대 은행의 지난 2월 주택구입자금 목적 신규 주택담보대출 중 정책 대출은 36.6%를 차지했다.

정책 대출의 비중은 지난해 8월 19.7%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계속 올라가서 같은 해 12월 54.6%를 찍고 올해 1월(44.0%)과 2월(36.6%) 두 달 연속 떨어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정책 대출 비중이 줄어든다는 것은, 작년 말까지 투자·투기적 성격의 가계대출을 철저히 막고 정책 대출을 비롯한 실수요자에게만 대출을 내주다가 올해 들어 은행들이 여러 규제를 풀고 이외 수요자들에게도 대출을 늘리고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우리은행의 경우 지난달 21일부터 주택을 이미 보유한 고객의 서울 등 수도권 추가 주택 구입용 대출도 다시 취급하기 시작했다.

다른 은행 관계자도 "정책대출은 종류에 따라 대부분 6억원 이하, 9억원 이하 등 구입 가능 주택 가격대에 제한이 있다"며 "연초 금리 인하와 부동산 거래 회복 등과 함께 그 이상 가격대의 주택 거래와 관련 주담대가 늘어나면서 신규 주담대 취급액 가운데 상대적으로 정책대출 비중이 빠르게 떨어진 것으로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5대 은행 주택구입자금용 신규 주택담보대출 추이(단위:억원,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자료 취합
'24년
9월
10월 11월 12월 '25년
1월
2월
신규
주담대
92,088 66,236 48,313 49,391 55,765 74,878
정책대출 22,109 21,983 22,064 26,971 24,509 27,400
정책대출비중 24.0 33.2 45.7 54.6 44.0 36.6
신규 주담대 전월비 증가율 -18.1 -28.1 -27.1 2.2 12.9 34.3


◇ 은행 창구 "토허제완화·금리인하 등에 주담대 상담·문의 급증"

이런 분위기는 최근 은행권 창구에서도 확인된다.

A 은행 서울 여의도 한 지점 관계자는 "올해 들어, 특히 2월부터 실제 대출 받는 사람이 증가했고, 주택구입자금 대출을 문의하는 사람도 크게 늘었다"며 "주로 금리 인하 폭, 대출 규제 완화로 원리금이 얼마나 줄어들 수 있는지 등을 문의한다"고 전했다.

B 은행 서울 성동구 한 지점 관계자도 "토지거래허가제 규제 완화 이후 강남 부동산 열기가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으로 퍼지고, 금리 인하 기대도 커져 주택구입자금 대출 상담 건수가 큰 폭으로 늘었다"고 말했다.

C 은행 서울 강남구 한 지점 관계자 역시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발표된 뒤로 부동산 매입 계획과 관련한 상속·세무·대출 상담이 이어지고 있다"며 "대체로 상담 요청 고객은 이 기회에 구입하는 것이 낫다는 생각으로 최대한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물어본다"고 밝혔다.

◇ 농협·하나·신한 대출금리 줄인하…"상담이 2∼3개월 후 실제 대출로"

은행권은 2월 이사 철 정점이 지나 3월 다소 주춤할 수는 있지만, 상반기 대체로 신규 주택담보대출이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무엇보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예상 등으로 시장금리가 전반적으로 내리는 추세인데, 이를 반영해 대출금리도 앞으로 더 떨어지면 대출 수요는 늘어날 수밖에 없다.

금융당국의 금리 인하 압박까지 더해져 실제로 신한은행은 오는 14일부터 주택구입자금·생활안정자금용 주택담보대출(금융채 5년·10년물 지표금리 상품 한정) 금리를 0.10%포인트(p)씩 낮추고, 7가지 신용대출 상품의 금리도 우대금리 신설을 통해 0.10∼0.20%p 하향 조정한다.

하나은행도 10일부터 대면 주택담보대출 상품(혼합형 금리)의 가산금리를 0.15%p 내릴 예정이다.

NH농협은행의 경우 이미 6일 비대면 주택담보대출과 개인신용대출 금리를 최대 0.40%p 인하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와 7월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시행도 상반기 가계대출 관리 위험 요소로 거론된다.

한국부동산원이 지난 6일 발표한 '3월 첫째 주(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해당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4% 올랐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의 영향으로 직전 주(0.11%)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해당 지역의 주담대 상담은 많이 늘었지만, 현장 지점 얘기로는 아직 본격적으로 대출로 모두 이어지는 단계는 아니라고 한다"며 "하지만 아마 금리 인하가 더 진행되면 곧 거래 증가가 동반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여기에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 강화를 앞두고 상반기 '막차 수요'가 몰릴 가능성도 있다는 게 은행권의 관측이다.

다른 은행 관계자는 "당행의 경우 아직 주택 소유자의 수도권 추가 주택 구매를 위한 주담대를 막고 있다"며 "이런 규제들을 과감히 아직 풀지 못하는 것은 작년 2분기와 같은 가계대출 급증 현상이 반복되지나 않을지 걱정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shk999@yna.co.kr, hanjh@yna.co.kr, ssu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세계일보[단독] “골드바 사자”… 5대銀 1분기 판매, 2024년 총액 넘어
  • 아시아경제'강동대첩' 막 올랐다…대형마트, '푸드마켓' 목숨 건 이유
  • 머니투데이"와, 싸다" 문 열리자 수백명 우르르…고기·과일 카트에 한가득[리얼로그M]
  • 파이낸셜뉴스‘현대차의 자신감’ 신형 팰리세이드, 북미서 질주 채비
  • 헤럴드경제“밖에서 건물로 들어오고 싶도록” 공간을 연계하는 디자인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