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2.0%…2개월 연속 2%대

0
댓글0
(상보)

머니투데이

(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고물가 시대로 들어서며 밥상물가 고공행진도 가속화하고 있다. 이에 가성비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며 식사 대용 간편식 시장이 주목 받는 상황이다. 5일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 간편식 등이 진열돼 있다. 2025.3.5/뉴스1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0%를 기록하며 2개월 연속 2%대를 기록했다. 축·수산물, 공업제품, 서비스, 전기·가스·수도 가격이 모두 올랐다.

통계청이 6일 발표한 '2025년 2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6.08(2020년=100)로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은 전년 동월 대비 1.9% 상승했다. 농산물(-1.2%)은 떨어졌지만 축산물(3.8%), 수산물(3.6%) 등에서 올랐다. 채소류 가격은 1.3% 올랐다.

농산물은 세부적으로 △배추(65.3%) △무(89.2%) △당근(59.6%) 등에서 올랐지만 △파(-31.1%) △쌀(-3.3%) △감(-27.7%) 등에서 내렸다.

공업제품은 전년동월 대비 2.0% 올랐다. 이 중 석유류 가격은 6.3%, 가공식품 가격은 2.9% 올랐다. 석유류는 휘발유(7.2%)와 경유(5.3%) 모두 올랐다.

전기·가스·수도는 3.1% 올랐다. 도시가스(6.9%), 지역난방비(9.8%), 상수도료(3.7%) 등에서 올랐지만 전기료는 0.4% 내려갔다.

서비스 가격은 2.1% 올랐다. 개인서비스가 3.0% 상승했다. 외식 가격은 3.0% 올랐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를 보면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년동월 대비 1.9% 상승했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기준 근원물가 상승률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1.8% 올랐다.

구입이나 지출 빈도가 높은 품목을 포함한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6%다. 신선채소·신선과실 등 품목을 포함한 신선식품지수는 전년동월 대비 1.4% 하락했다.

세종=최민경 기자 eyes00@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아시아경제도로 방음벽, 더 안전하고 예뻐진다…국토부 새 가이드라인 배포
  • 머니투데이'트럼프 입김'에 중국산 선박 주문 급감…"점유율 가져올 기회"
  • 비즈워치퇴직연금 '투자' 강조하는 증권사들…자기 퇴직연금은 '예금'
  • 한국일보사람은 쉽게 푸는데 AI는 포기선언... AI 한계 시험 위해 작정하고 만든 ‘최후의 테스트’
  • 뉴시스은마, 49층 ‘초고층 대단지’로 재탄생…강남 재건축 '기폭제' 되나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