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중국, 남중국해 해저 2000m에 '심해 정거장' 건설... 영유권 강화 포석

댓글0
과학자 6명 체류하며 심해 광물 연구 목적
해저 도·감청 등 첩보 거점 활용될 여지도
한국일보

2023년 12월 2일 남중국해 해상에서 선체가 서로 결박된 중국 선박들이 난사군도 인근에 위치한 휘트선 암초 해역을 침입하고 있다. 필리핀 해안경비대 제공·로이터 연합뉴스


중국이 남중국해 심해에 해저 연구시설 건설을 추진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남중국해 영유권 강화를 위한 중국의 인공 섬 건설과는 별도로, 해저 연구시설까지 짓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은 처음이다.

1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과학원 남중국해연구소는 최근 자국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2030년 가동'을 목표로 한 남중국해 심해 생태 연구시설의 세부 사항을 공개했다. 해저 2,000m에 건설되고 있는 이 연구 시설은 과학자 6명이 한 달간 생활할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돼 있다.

아울러 무인 잠수함 △수상 선박 △해저 관측소 △지구 맨틀 도달을 목표로 한 시추선 '멍샹' 등 부속 시설도 갖췄다. 과학자들은 이곳에 머물며 메탄 수화물(methane hydrate·인화성 얼음)이 대량 함유된 해저 열수 분출구를 연구할 계획이다. 시설 위치와 관련, 연구소는 "700억 톤의 메탄 수화물은 물론, 코발트·니켈 등 희귀 광물이 다량 매장돼 있고,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생물 600여 종이 서식하는 곳"이라고 소개했다.
한국일보

중국 인민해방군의 J-15 전투기가 남중국해 상공에서 비행을 마치고 항공모함인 랴오닝함에 착륙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이 때문에 해당 시설은 '심해의 우주정거장'으로도 불린다고 한다. SCMP는 "지금까지 시도됐던, 기술적으로 가장 복잡한 해저 시설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익명을 요구한 베이징의 해양 과학자는 "이번 해저 시설은 중국이 해양 추종국에서 해양 선도국으로 변모했음을 의미한다"며 "심해 경쟁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특히 이 해저 기지가 남중국해 영유권 강화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러시아 로샤릭 잠수함의 2012년 북극 해저 조사가 러시아의 대륙붕 확장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리적 근거로 쓰였던 것처럼, 중국이 건설 중인 해저 기지도 '남중국해 해역=중국 관할' 주장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SCMP는 짚었다. 표면상 연구 시설이지만, 실제로는 ' 해저 도·감청' 등 첩보 활동 거점으로 활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중국은 남중국해에 U자 형태로 9개의 선(구단선)을 긋고, 해역 90%가 자국 영해라고 주장하면서 필리핀 등 주변국과 마찰을 빚어 왔다. 중국인민해방군 남부전구사령부는 12일에도 "중국군이 남중국해에서 연례 순항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사령부는 최근 필리핀이 미국·캐나다와 함께 남중국해에서 순찰 활동을 편 데 대한 대응이라며 "중국은 남중국해에서의 주권과 해양 권익에 대해 충분한 역사적·법리적 근거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베이징= 조영빈 특파원 peoplepeopl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시스中외교 "日총리, 중국 입장 존중한다 발언"…日정부 "사실과 달라"
  • 뉴스1"두바이 파티 간다" 미모의 셀럽, 열흘 뒤 사지 부러진 채 발견
  • SBS[자막뉴스] 경찰차 연쇄 추돌로 도로 아수라장…고의로 추돌한 이유?
  • 이데일리"중국, 대만 봉쇄 준비 끝"…시진핑 전략은
  • 중앙일보F-35에 불똥 튄 美 친러행보…유럽 동맹국, 테슬라처럼 불매운동?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