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R&D 추경 논의에…과기정통부 "내년까지 기다릴 수 없는 분야 살필 것"

댓글0
류광준 혁신본부장 "추경 여·야 합의 필요…우선 올해 예산 잘 집행"
"R&D 예산, 급변하는 상황에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 고민"
뉴시스

[서울=뉴시스] 류광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혁신본부장이 13일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열린 미디어데이에 참석했다.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류광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이 최근 논의되는 연구개발(R&D) 추가경정예산(추경)과 관련해 “내년까지 기다릴 수 없는 분야가 뭐가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고 13일 밝혔다.

류 본부장은 이날 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추경을 염두에 두고 한다기보다 정부가 어떤 상황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해야 한다는 일환”이라며 “어떤 것을 내놓으라고 요구 받을 때 이를 내놓을 수 있도록 내부적으로 당연히 검토한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35조원 규모의 추경을 정부와 여당에 제안했다. 이는 앞서 이재명 대표가 제안한 30조원보다 5조원 증액된 규모다. 특히 인공지능(AI)·반도체 지원 및 R&D확대를 위해 5조원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다만 류 본부장은 추경이 여야 합의와 재정 당국과 당정 간 논의 등이 우선돼야 한다는 점을 들며 추경과 관련해 어떤 입장이 있는 것이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올해 주어진 예산을 잘 집행하는 게 우선”이라고 했다.

이밖에 류 본부장은 혁신본부의 고민으로 '정부 R&D 투자방향 설정’을 꺼냈다.

그는 “3월에 정부 R&D 투자방향 및 기준안을 제시하면 12월 국회에서 확정되면 차년 1월에 예산이 집행되는데, 자칫 급변하는 상황에 맞지 않을 수 있다고 본다”며 “막상 1월에 예산을 쓰려고 보면 지난해 3월에 시작한 것이라 상황에 맞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R&D 예산은 실제로 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 있어 환경이나 현장에 빠르게 적응하는 것들이 필요하다”며 “블록펀딩이나 예산 소요를 넓게 잡는 등이 여러 가지로 고민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다음달 발표할 정부 R&D 투자방향 및 기준안과 관련해 “30조원(정부 R&D 예산 규모)이라는 돈이 적지도 않지만 AI, 양자 분야에 등에 상당한 투자를 하는 미국, 중국과 비교하면 많지 않은 규모”라고 설명했다.

이어 “잘 써야 하는 만큼, 확대해야 할 분야와 미뤄야 할 분야, 또 내실화할 분야를 신중하게 검토해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빠르게 전하는 기술 환경에 맞춰 규제가 될 수 있는 제도를 미리 발굴하겠다고 했다.

류 본부장은 “지금은 규제라고 상상하지 못했던 부분들이 기술이 발전하면서 규제가 될 수 있다”며 “이에 미리 발굴해서 준비해야 한다. 올해는 현장 소통을 통해 (발굴에)집중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iming@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시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서울경제中·대만 갈등 깊어지는데···장제스 증손자 "본토 이주" 파장
  • 머니투데이'위기 직감' 미국의 동맹요청…중국에 놀란 반도체 강국들이 놓친 것
  • SBS전현직 임직원 짜고쳤다…기업은행 882억 부당 대출 적발
  • YTN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심정지로 별세...향년 63세
  • 한국일보지난해 국민 사회갈등, 보수와 진보 갈등이 최고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