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오른쪽)과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2018년 7월 16일 헬싱키에서 열린 회담 전에 촬영된 사진. (사진=AFP) |
[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뉴욕= 김상윤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드디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종식하기 위한 협상을 개시했다. 그러나 협상도 전에 우크라이나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과 함께 영토 수복 가능성에 선을 그으며 러시아에 유리한 흐름이 조성되는 모양새다. 종전 이후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끊진 않겠지만, 거기에는 대가가 따른다는 점도 강조했다.
트럼프, 푸틴·젤렌스키와 연쇄 통화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의 통화 사실을 알리며 “우리는 양측 협상팀이 (러-우 전쟁 종전 ) 협상을 즉각 개시하도록 하는 데 합의했다”고 말했다.
크램린궁 역시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이 약 90분간 통화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드미트리 페스코프 대변인은 푸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상황과 분쟁의 평화적 해결 방안을 논의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적대행위를 조속히 중단하고 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데 찬성했고, 푸틴 대통령은 분쟁의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고 언급했다”고 말했다
미국과 러시아 정상이 직접 통화한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되기 직전인 2022년 2월 이후 3년 만이고, 트럼프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 사이 통화는 트럼프 1기 때인 2020년 7월 이후 처음이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사실도 공개하며 “그는 푸틴 대통령처럼 평화를 이루고자 한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성명에서 “우크라이나는 누구보다도 평화를 원한다”고 말했다. “우리는 러시아의 침략을 중단하고 신뢰할 수 있고 지속 가능한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 미국과 공동으로 조치를 취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말했듯이, ‘이루어내자.’”고 말했다.
“우크라 나토 가입 불가능”
젤렌스키 대통령이 종전의 조건으로 내건 나토 가입에 대해서 미국은 일찌감치 선을 그었다. 두 대통령과의 통화를 마친 후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모든 토지를 돌려받을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돈을 “어떤 형태로든” 회수할 의사도 밝혔다. 그는 “우크라이나와 우리나라 사이에는 바다가 있지만, 유럽은 아무것도 없다”면서 “(그럼에도) 우리는 유럽보다 더 많은 돈을 쏟아붓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에는 천연자원, 석유, 가스가 있으며 미국은 자금 지원에 대한 “보장”을 요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역시 이에 대해 동의했으며 우크라이나에 추가 지원이 제공될 것이지만 그 자금은 반드시 보장된 형태로 지원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날 우크라이나를 방문해 젤레스키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광물 매장지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베센트 장관이 두 나라간 안보 및 경제적 파트너십에 대한 문서를 제시했으며 오는 14~15일 독일에서 열리는 뮌헨안보회의에서 협정을 체결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에 앞서 피트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종전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유럽을 방문하고 있는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국경 안보와 중국과의 전쟁 억제에 주의를 돌리면서 더이상 유럽과 우크라이나 안보를 우선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미국은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이 현실적인 결과라고 믿지 않는다”며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에 선을 그었다.
헤그세스 국방장관도 트럼프 대통령처럼 “러시아가 크림반도와 동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전인 2014년 이전 국경으로 돌아가는 것은 비현실적인 목표”라고 말했다. 다만 시점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기 이전인 2022년이 아닌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점령한 2014년으로 잡은 것은 주목할 만 하다. 한 나토 관계자는 CNN에 “헤그세스가 우크라이나 2022년 이전 국경 회복이 비현실적”이라고 말했다면 훨싼 더 큰 우려를 불러일으켰을 것이라고 말했다.
헤그세스 국방장관은 또한 “지속 가능한 평화 협정에는 전쟁이 다시 시작되지 않도록 하는 강력한 안보 보장이 포함되어야 한다”면서도 “미군이 우크라이나에 배치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는 미국의 리더십 없이 유럽만으로 우크라이나에 의미 있는 안보를 보장할 수 없다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발언을 사실상 거절한 발언이다.
미러 정상회담은 사우디에서…유럽 “우크라 배제 말아야”
미국과 러시아 관계가 이번 종전협상을 시작으로 다시 회복될지도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과의 회동과 관련, “우리는 아마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만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그가 이곳(미국)에 오고 내가 그곳(러시아)에 갈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사우디아라비아 회동 이후 상호 방문 가능성도 언급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회동 시기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만약 올해 양 국가 간 상호방문이 이뤄진다면, 미국 대통령의 러시아 방문은 12년 만이다. 2013년 G20 정상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러시아를 방문했다. 푸틴 대통령은 2015년 유엔 회담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을 마지막으로 방문했다.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에 관여하고 있는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는 전날 마약 혐의로 러시아에 구금돼 있던 전 주러 미국 대사관 직원 마크 포겔이 석방된 것에 대해 우크라이나 전쟁의 미래에 대한 “가능성을 보여주는 지표”라고 말했다. 미국도 돈세탁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고 자국에 수감 중인 러시아 가상자산 거래소 BTC-e 공동창업자인 알렉산드르 빈니크를 석방하기로 했다.
휴전협상이 개시됐지만, 우크라이나가 어느 정도의 입지를 가지고 있을지도 관심이다. 푸틴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과는 직접 협상할 수 없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또 푸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분쟁의 원인을 제거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이는 단순히 휴전을 수용하겠다는 게 아니라 러시아의 요구 조건을 끝까지 관철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독일, 프랑스, 폴란드,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및 유럽연합(EU)은 공동 성명을 통해 “우크라이나의 미래는 키이우의 적극적인 참여 없이 결정되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