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포르쉐코리아 "상반기만 신모델 5대 이상…한국 시장 영향력 키운다"

댓글0
글로벌 2위·아시아 1위 규모 '서비스센터 성수' 오픈
성수 시작으로 2030년까지 전국 네트워크 두 배 확장
마칸 일렉트릭, 신형 911 등 다양한 신모델 출시 예정
[이데일리 이윤화 기자] 포르쉐코리아가 서울 성동구에 글로벌 2위 규모의 ‘서비스센터 성수’를 오픈했다. 올해 브랜드 첫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인 ‘마칸 일렉트릭’을 시작으로 상반기에만 5대 이상 신모델을 내놓으며 한국 시장 점유율을 확장한단 계획이다.

이데일리

마티아스 부세 포르쉐코리아 대표. (사진=포르쉐코리아)


포르쉐코리아는 12일 오전 서울 성동구 용답동에 위치한 서비스센터 성수 오픈을 기념해 미디어 데이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마티아스 부세 포르쉐코리아 대표를 비롯해 홀가 브란트 애프터 세일즈 디렉터 등 주요 임원진이 참석해 신차 출시 계획, 딜러 네트워크 확장, 애프터 세일즈 강화, 사회공헌 활동 등 올해 주요 경영 계획을 공유했다.

마티아스 부세 대표는 “포르쉐는 ‘가치 중심 성장’을 통해 브랜드 경험을 혁신하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네트워크 확대와 애프터 세일즈 서비스 강화에 적극적으로 투자 중”이라면서 “서비스센터 성수 오픈이 대표적인 사례로 이는 한국 시장의 중요성과 지속 가능한 성장에 대한 목표 의식을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포르쉐 DNA 담긴 글로벌 2위 서비스센터

포르쉐코리아가 딜러 파트너사인 세영모빌리티와 함께 만든 ‘서비스센터 성수’는 중동에 이어 전세계 2위, 아시아 1위 규모를 자랑한다. 연면적 1만5968㎡, 지하 1층~지상 11층 높이의 건물로 포르쉐의 최신 설비와 최첨단 장비는 물론 국내에서 가장 많은 총 40개의 워크베이를 갖췄다. 국내 최다 일일 처리 능력으로 하루 평균 90대 이상의 일반 정비와 사고 차량 서비스가 가능한 풀 워크샵 기능을 수행한다. 향후 6층과 7층에 일반 정비 및 판금 도장 설비를 추가 증설하고, 워크베이를 25개 확장할 계획이다.

이데일리

포르쉐코리아 서비스센터 성수.


전동화 시대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기차 전용 최첨단 인프라도 갖추고 있다. 가장 최신의 전기차 화재 확산 지연 시스템 ‘쿼런틴 에어리어’를 마련했으며, 전기차 전용 정비 인프라와 함께 전문 기술 인력을 통해 한 차원 높은 서비스를 지원한다.

총 9명의 고전압 테크니션(HVT) 및 고전압 전문가(HVE)를 통해 전기차 정비 역량도 극대화했다. 포르쉐 글로벌 인증 서비스 컨설턴트(PGCS)와 가장 높은 기술력을 지닌 ZPT(포르쉐 독일 본사 인증 정비 자격증) 골드 테크니션이 정밀한 차량 진단과 최상의 전기차 정비 서비스도 제공한다. 센터 내에는 320kW 초급속 충전기 4대를 포함해 총 31대의 충전기를 배치해 고객이 편리하게 차량을 충전할 수 있도록 했다. 고객들이 대기하는 동안 즐길 수 있도록 골프존, 카페테리아 등 편의시설도 갖췄다.

포르쉐코리아는 서비스센터 성수를 시작으로 2030년까지 국내 네트워크를 두 배 확장하고, 전동화·디지털화 시대에 맞춰 정비 전문 시설과 인력을 확충할 계획이다. 포르쉐 스튜디오 한남, 서비스센터 양재와 영등포, 포르쉐 오너스 컬렉션 대치, 포르쉐 센터 제주 등의 오픈이 예정돼 있다. 포르쉐코리아는 현재 포르쉐 전시장 14곳, 서비스센터 15곳, 포르쉐 인증 중고차 센터 5곳, 포르쉐 스튜디오 4곳을 운영하고 있다.

홀가 브랜트 포르쉐코리아 애프터 세일즈 디렉터는 “브랜드 성장 및 한국 시장 입지 확장을 고민하며 서울 수도권과 이외의 다른 지역에도 서비스센터 확장 계획을 잡고 있다”면서 “애프터서비스를 위한 최첨단 기술, 서비스 강화로 고객 만족 극대화를 이룰 것”이라고 다짐했다.

이데일리

포르쉐코리아 브랜드 최초의 순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뉴 올 마칸 일렉트릭. (사진=포르쉐코리아)


◇신모델 투입, 서비스 경험 확대로 부진 돌파


포르쉐코리아는 올해 신차 라인업을 보강하는 동시에 고객 서비스 경험 강화로 실적 부진을 극복하겠다는 방침이다. 국내 수입차 시장이 경기침체에 따른 판매 부진과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여파로 포르쉐코리아도 지난해 부침을 겪었다. 2020년 7779대에서 2023년 1만1355대로 지속 성장했던 포르쉐코리아 국내 판매량은 지난해 8284대로 줄었다.

부세 대표는 “지난해 포르쉐의 6개 모델 중 4개가 사이클 변경이 이뤄지면서 신차 출고가 미뤄져 그에 따른 영향이 있었다”면서 “올해는 구체적인 수치를 언급할 수 없지만, (실적에 대해) 낙관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력 모델 신차와 새로운 전기차를 도입해 전동화 전환과 실적 반등을 병행한다는 전략이다. △3월 고객 인도가 예정된 마칸 일렉트릭을 시작으로 △성능, 디자인, 개인화의 기준을 한층 더 높인 아이코닉 모델 911 신형 △GT3 라인 25주년을 기념하는 강력한 퍼포먼스의 911 GT3 △스포티한 성능과 높은 일상적 사용성을 겸비한 타이칸 GTS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 제품 포트폴리오로 선택의 폭을 넓힌다.

또 새로운 스포츠 플래그십 모델 타이칸 터보 GT, 타이칸 터보 GT 바이작 패키지, 파나메라 GTS 출시에 이어 다양한 파워트레인 타입의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부세 대표는 “앞으로 고객이 경험하는 포르쉐의 전 여정을 개선하기 위해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확대할 것이고, 개인맞춤화 서비스나 ‘K-에디션’ 등을 통해 한국 소비자들에게 적합한 제품을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매일경제“우리 돈 받을 수 있는 건가요”...전례없는 회장 사재출연, 홈플 숨통 틀까
  • 세계일보30대 ‘쉬었음’ 6개월 연속 최고치...MBK 김병주 사재 출연 [한강로 경제 브리핑]
  • 파이낸셜뉴스수지, 21살에 현금으로 산 '삼성동 꼬마빌딩'...9년 만에 43억 올랐다
  • 연합뉴스TV[3분증시] 미 증시, 저가 매수에 급등… 코스피 관세 불안 속 FOMC·엔비디아 주목
  • 서울경제집값 떨어지긴 커녕 서울 34평 아파트 가격 평균 14억 3895만 원[집슐랭]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