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中덤핑에 美관세까지' 철강업계 '사면초가'…다음은 자동차?

댓글0
[앵커]
트럼프의 관세 조치로 국내 철강업계도 큰 혼란에 빠졌습니다. 이미 중국산 저가 철강에 밀리는 상황에서, 미국 수출 문까지 좁아지면 큰 타격이 예상됩니다. 앞으로 트럼프의 관세 폭탄이 어느 수준까지 확대될지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다른 산업계도 긴장하고 있습니다.

이어서 장혁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철강 제품을 실어나르던 롤러테이블은 멈췄고, 거대한 공장 내부는 텅 비었습니다. 지난해 11월 폐쇄된 포스코 1선재 공장입니다.

중국산 저가 공세와 글로벌 경기 침체로 휘청대는 철강업계에 트럼프발 관세 폭탄까지 덮쳤습니다.

한국 철강 수출에서 미국은 12% 넘는 비중을 차지하는 최대 시장입니다.

25% 관세가 현실화할 경우 사실상 수출이 마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만 지난 2018년 트럼프 정부가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할 때 우리나라는 관세 대신 수출량을 제한하는 쿼터제를 적용받은 것처럼 협상 여지는 남아있습니다.

박종원 / 산업부 통상차관보
"국익을 최대한 확보하고 그다음 우리 업계가 최대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해보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한 상호관세와 보편관세가 현실화되면 다른 제품들도 피해가 예상됩니다.

장상식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
"(관세 부과 가능성이) 가장 높은 품목은 자동차입니다. 자동차는 대미무역흑자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큰 산업인데요. (전체) 100억 달러 정도의 대미 수출 감소 효과가 발생을 합니다."

일각에선 미국의 관세정책이 주로 중국과 유럽연합(EU)을 겨냥하고 있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고 있는 우리나라는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럽게 나옵니다.

TV조선 장혁수입니다.

장혁수 기자(hyuk@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중앙일보[단독] 삼성전자 파격의 'TV 해체쇼'…"중국산엔 퀀텀닷 없다"
  • 서울신문“수지가 수지맞았네”…9년 전 ‘이것’ 산 뒤 43억 벌었다는데
  • 머니투데이브레이크 없는 트럼프 관세…"수출 20% ↓" 떨고 있는 자동차 업계
  • 연합뉴스TV[3분증시] 미 증시, 저가 매수에 급등… 코스피 관세 불안 속 FOMC·엔비디아 주목
  • 이데일리"돌아온 넥타이 패션" 무신사, 슬림 타이 거래액 껑충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