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결혼 커플 1년새 20% 줄었다”…한국·일본 보다 한술 더 뜨는 이 나라

댓글0
혼인신고, 1980년 통계 집계 이래 최저
中 혼인율 하락 속도 한국·일본 앞질러
출생아수도 줄며 인구도 3년 연속 감소


매일경제

지난해 4월 중국 산둥성 칭다오의 한 해변에서 웨딩사진을 촬영하는 중국 커플들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당국이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결혼·출산 장려 정책을 펴왔음에도 지난해 혼인신고 건수가 20% 넘게 감소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8일 중국 민정부는 ‘2024년 4분기 민정 통계 데이터’를 통해 지난해 전국에서 610만6000쌍이 혼인신고를 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도 혼인신고 건수 768만건에서 20.5%(157만4000건)급감한 것이다.

차이신 등 현지 매체들은 인구학자들을 인용해 지난해 중국의 혼인신고 건수는 1980년 혼인법 개정으로 관련 통계 집계가 확립된 이래 가장 적은 수치라고 전했다.

1980년 이후 중국의 혼인신고 건수는 2013년 1346만9000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4년부터 9년 연속 줄고 있다.

중국의 연간 혼인신고 건수는 시진핑 주석 취임 직후인 지난 2013년 1346만9000건으로 정점을 찍은 뒤 줄곧 내리막이다. 2019년 처음으로 ‘1000만건’ 벽이 깨져 927만3000건(8.5% 감소)을 기록했고, 이후 10% 내외의 가파른 하락세를 이어왔는데 지난해에는 20% 이상으로 감소폭을 한층 더 늘린 것이다.

혼인건수 급감으로 이와 직결되는 출생아수도 가파르게 줄어들고 있다. 중국에서는 상서로운 해로 여겨지는 ‘용띠 해’인 지난해 출생아 수가 954만명으로 8년 만에 찔끔 늘어났지만 여전히 1000만명을 밑돌면서 총인구는 3년 연속 감소했다.

중국 당국은 저출산 고령화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출산 지원책을 도입하고 대학에서 연애·결혼 관련 강의를 도입하도록 촉구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지만 가임 인구 감소와 청년층의 결혼·출산 기피 등 근본 상황은 바뀌지 않고 있다.

한국·일본 보다 저출산·고령화 속도 빠른 중국...2050년 노인만 5억명
매일경제

[그래픽=매경DB]


같은 문화권의 이웃국가인 한국, 일본의 혼인건수도 지속적으로 떨어지고 있지만 중국의 경우 하락세가 가장 가파르다.

1993년 9.0 이었던 한국의 조(粗)혼인율(인구 1천명당 혼인건수)은 2022년 3.7로 60% 가까이 떨어졌다. 일본도 2차 베이비붐이 있었던 1974년 조혼인율은 9.0이 넘었지만 2022년 4.2까지 하락했다. 혼인율이 비슷한 수준까지 떨어지는데 일본이 50년 정도가 걸렸다면 한국은 30년 정도 걸렸다.

그런데 중국은 2013년까지 9.9 였던 조혼인율이 2022년 5.2까지 떨어졌다. 혼인율이 반토막 나는데 10년도 채 걸리지 않은 셈이다.

한국에서는 ‘비혼주의자’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지만 중국에선 ‘공혼족(恐婚族)’이라는 단어가 유행중이다. 공혼족이란 말그래도 ‘결혼이 두려워 거부하거나 기피하는 청년들’ 을 말한다.

중국에서 결혼이 줄어드는 중요한 요인중 하나는 ‘결혼 적령기’ 인구 자체가 감소한데다, 기형적 성비 불균형까지 이를 부추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과거 1가구 1자녀 정책과 남아선호 현상 결합이 남긴 참극이다.

한국과 같이 미혼출산이 금기시되는 중국에서 혼인율 저하는 출산율 하락과 직결된다. 중국에서는 1987년 이후 출산율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매일경제

높은 양육·교육비도 혼인율 하락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최근 수년간 경제 상황이 나빠지면서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지고, 일자리가 있어도 장기적인 전망에 불안감을 느끼게 된 것도 결혼·출산 기피를 한층 부추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결과적으로 국가별 인구 집계 이래 60년 넘게 세계 최대 인구대국 자리를 지켜왔던 중국은 지난해 인도에 1위 자리를 내주게 됐다.

한국, 일본 보다 저출산 고령화가 더 가파르게 진행되는 만큼 추세대로라면 중국의 만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035년 4억명을 넘어서고 2050년 5억명에 육박하는 누구도 대적할 수 없는 세계 최대 ‘노인대국’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과거 젊고 풍부한 인구로 누렸던 ‘인구 보너스’ 효과 대신 고령화된 거대 인구가 큰 부담으로 다가오고 있는 상황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YTN9개월간 발 묶였던 미 우주비행사들 지구 귀환 시작
  • SBS미국 행정부-사법부 충돌 격화…"견제와 균형 시험대"
  • 서울신문“좌파 미치광이 판사 탄핵해야”…트럼프 ‘니가 대통령이냐?’ 광분, 무슨 일?
  • 뉴시스'귀양살이' 나사 비행사 2명, 지구귀환 중…2년전 소유즈 '귀양'보다는 짧아
  • MBC휴전 협상 중 공습‥"최소 400여 명 사망"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