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안 장관은 오늘(7일) 오후 한 방송에 출연해 대왕고래 1차 탐사시추 초기 분석 결과에 대해 이같이 밝혔습니다.
앞서 정부는 동해 심해 가스전 프로젝트의 7개 유망구조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대왕고래 유망구조를 1차 탐사시추한 결과, 가스 징후가 일부 포착됐지만 경제성 있는 가스전으로 개발할 수준에는 크게 못 미치는 것으로 잠정 확인됐다고 발표했습니다.
안 장관은 이에 대해 "눈으로 확인했을 때 가스나 석유가 터져 나오지 않아 현재 기준으로 경제성은 없다고 말씀드렸다"면서도 "가스가 지금 여기(대왕고래)에는 없지만, 매장됐던 가스가 여기를 지나간 경우에는 옆에 있는 6개 유망구조 부근에 있을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고 말했습니다.
안 장관은 '석유 시스템'이 이번 탐사 시추로 확인됐다는 점에 우선 의의가 있다고 했습니다.
이어 "상당히 양호하게 구성돼 있었다"며 "가스의 징후가 좀 있기 때문에 이 가스의 징후가 어떻게 흘러간 건지, 유래가 어떻게 됐는지, 이동 경로가 어떻게 됐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나머지 유망 구조의 후속 탐사를 충분히 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본다"고 밝혔습니다.
동해 심해 가스전 전체가 하나의 가스통처럼 형성된 것이라면 다른 곳을 파볼 필요가 없겠지만, 분리된 구조라면 탐사시추 필요성이 높은데 나머지 6개 구조는 대왕고래 구조와 깊이가 다르다는 게 안 장관의 설명입니다.
안 장관은 해외 오일 메이저를 상대로 투자 유치를 진행할 방침이라면서, 국부 유출을 최소화하려면 정부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안 장관은 "지금 해외 유력 메이저들이 관심을 보이는 유망 구조가 조금씩 다르다"면서 "모든 개발비를 해외 투자자들에게만 의존하면 나중에 개발이 됐을 때 국부 유출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조만간 이번에 찾은 유망구조를 해외 유치가 가능한 형태로 조광권을 새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해외 투자 유치 작업을 계획한 대로 계속 진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안 장관은 국회에서 예산 승인이 나지 않는 경우에는 "100% 외자 유치로만 진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될 수도 있지만, 국내 기업들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중요한 국부와 관련된 사업인 만큼 여야가 합의해 정당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안 장관은 세계 최대 유전으로 평가받는 남미 가이아나 유전은 14번째 시추공을 뚫으면서, 노르웨이의 에코피스크 유전은 시추 33번 시도 만에 성공한 사례를 언급했습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대왕고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