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KISA, 딥시크 논란에 "생성형AI에 주민번호·주소 입력 말아야" 권고

댓글0
'생성형 AI 사용 관련 주의 보안권고' 공지
개인정보 입력 주의·기밀 데이터 입력 말아야
뉴시스

[베이징=AP/뉴시스]28일 중국 수도 베이징의 한 사용자 휴대전화 화면에 딥시크(DeepSeek)와 챗GPT(ChatGPT)의 애플리케이션이 보이고 있다. 2025.01.28.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 사용에 따른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커지자,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않도록 권고했다.

KISA는 7일 보호나라 홈페이지를 통해 '생성형 AI 사용 관련 주의 보안권고'를 공지했다.

이를 통해 KISA는 일반사용자에 AI 서비스 사용시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및 금융 정보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않도록 주의하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AI가 생성한 정보는 오류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사실 여부를 반드시 검증하도록 권고했다.

또 AI를 활용한 피싱 공격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나 이메일을 클릭하기 전에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발신자인지 확인하고, AI 기반 코드 생성기 사용시 보안점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기업에 대해서는 AI 서비스에 회사 내부 문서, 소스 코드, 고객 정보 등 기밀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도록 정책 수립하도록 권고했다.

아울러 AI 서비스 사용 로그를 기록하고, 내부망에서의 무단 사용을 제한하는 접근 통제 정책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콘텐츠에 대한 출처 검증 및 검수 프로세스를 강화하고 AI를 이용한 사이버 공격(자동화된 해킹, 사회 공학 공격 등)에 대한 대응 계획 수립하도록 당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chewoo@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뉴시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중앙일보매일 악성코드 31만 개 잡는 ‘사이버 방패’…30살 안랩 "1조 기업 될 것"
  • 한겨레국내 재생에너지 비중 10.5% ‘첫 두자리’…여전히 OECD 꼴찌
  • 머니투데이이 회사 없었으면 다 털렸다?…'디도스 방패' 국민 백신 "글로벌 도약"
  • 디지털데일리[박대리보고서] 테슬라도 돌아선 트럼프의 관세 정책…삼성SDI, 2조원 유증 택한 이유는
  • 매일경제한미 원전협력 시급한데…‘민감국가’ 낙인에 장애물 커지나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