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KISA, 딥시크 보안 우려에 "AI에 개인정보 입력 말라" 권고

댓글0
연합뉴스TV

[딥시크-R1 앱 캡처]



중국이 개발한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가 개인정보 등을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논란이 커지자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오늘(7일) 생성형 AI 사용에 관한 보안 권고를 공지했습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보호나라 사이트에 올린 공지를 통해 "생성형 AI 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함에 따라 국내 일반 사용자 및 기업이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권고한다"고 밝혔습니다.

AI 서비스에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주소 및 금융 정보 등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말고 AI가 생성한 정보에 오류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사실 여부를 반드시 검증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특히 가짜뉴스나 딥페이크 영상 등을 주의하고, 출처가 불분명한 링크나 이메일을 클릭하기 전에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발신자인지 확인하라고 권고했습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AI를 활용한 악성코드 제작이 증가하고 있는데 따라 AI 기반 코드 생성기 사용 시 보안점검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기업을 대상으로는 AI 서비스에 회사 내부 문서, 소스 코드, 고객 정보 등 기밀 데이터를 입력하지 않도록 정책을 수립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AI 서비스 사용 로그를 기록하고, 내부망에서의 무단 사용을 제한하는 접근 통제 정책을 적용할 것도 권했습니다.

#AI악성코드 #가짜뉴스 #딥시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경태(ktcap@yna.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아이뉴스24구글 "北 해커, AI 무장하고 韓 방산·반도체 집중 공격…정부도 안전지대 아냐"
  • 스마트PC사랑젠슨 황 "인텔 파운드리 인수 논의한 바 없다" [디지털포스트 모닝픽]
  • 게임톡우왁굳 "5월에 이세돌 5집, 고척돔 콘서트 연다"
  • 디지털데일리여야, 18년 만에 연금개혁 합의… 소득대체율, 내년부터 43%로 인상
  • 전자신문한민수 민주당 의원 “구글·애플 결제 아웃링크 제공법” 발의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