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전세사기당할라… 비아파트 시장서 나타난 ‘월세 선호’ 현상

댓글0
2024년 연립·다세대 월세 거래량 6%↑
지난해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이 전반적으로 줄어든 가운데 비아파트 월세 거래량만 늘어나 관심이 쏠린다. 업계에서는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월세 선호 현상이 두드러진 것으로 보고 있다.

10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토대로 지난해 주택 유형별 임대차 거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주택(아파트, 연립·다세대, 오피스텔 포함) 전·월세 거래량은 총 155만9578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176만1624건)보다 11% 줄어든 수준이다.

세계일보

서울 용산 일대의 다세대 주택지구 모습. 연합뉴스


역전세난과 고금리 장기화, 대출 정책 영향 등이 맞물리며 지난해 주택 임대차 거래가 부진했던 것으로 다방은 분석했다.

주택 유형별 거래 동향을 보면 아파트 전세 거래는 60만9건,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는 11만2269건으로 전년 대비 각각 16%, 12% 감소했다. 오피스텔 전세 거래는 7만9860건으로 같은 기간 9% 줄었다.

눈에 띄는 건 월세 거래량이다. 아파트 월세 거래량은 2023년 55만1468건에서 지난해 46만8051건으로 15% 하락한 것과 달리 연립·다세대(13만2546건→13만9950건)와 오피스텔(14만5553건→15만9439건)의 월세 거래는 각각 6%, 10% 증가했다. 비아파트에 해당하는 주택 유형에서만 월세 거래가 늘어났다는 뜻이다. 다방 관계자는 “지난해 한 해 주택 임대차 거래가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비아파트 월세 거래량만 증가한 양상을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설명했다.

서울 내에선 빌라와 오피스텔 월세도 갈수록 오르는 모습이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연립·다세대 월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 104.87로 2023년 2월(100.84)부터 22개월 연속 상승했다.

다방 분석 결과 지난해 전 주택 유형에서 월세 비중이 전년 대비 증가한 것으로도 나타났다. 지난해 아파트 월세 비중은 43.8%로 전년보다 0.4%포인트 늘어났으며 연립·다세대(55.5%)와 오피스텔(66.6%)은 각각 4.4%포인트, 4.3%포인트 증가했다.

이강진 기자 jin@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세계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스1현대차 "BYD 상륙에 위기감 필요…로청처럼 성공할 수도"(종합)
  • 중앙일보계엄이 일자리도 쓸어갔다…12월 취업자 3년10개월 만에 '마이너스'
  • 이데일리"트럼프2기 美생산기지, 中서 韓 바꿀 수도 …반사이익 기대"
  • 머니투데이"주담대 변동형 금리 내린다"…은행권 대출금리 인하 본격화하나
  • 한겨레‘한국 출사표’ 샤오미, 주력 제품 총출동…선봉에 스마트폰 ‘14T’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