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외교부 "韓美日 긴밀 공조, 中과도 소통"…美 "北 감시 강화"

댓글0
[앵커]
이번 사태로 안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한미일 3국이 북핵 고위급 협의를 갖고 공조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미국은, 북한의 도발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았지만 감시를 더 강화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우리 정부는 미국 뿐 아니라 중국 등 주요국들과도 소통하며 외교 공백이 없게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신은서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미일 3국이 일본 도쿄에서 만나 북핵 고위급 협의를 갖고 북한 핵위협에 대한 공조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블링컨 미 국무장관과 통화하고, 골드버그 주한미국대사와도 직접 만났다고 전했습니다.

이어 오늘 김홍균 1차관이 미즈시마 주한 일본대사를, 정병원 차관보는 팡쿤 중국대사대리를 면담하고, 현 상황을 설명했습니다.

일본을 방문 중인 오스틴 국방장관도 동맹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한미일 관계가 정부 출범부터 최우선 순위였다는게 미국 국방부 설명입니다.

로이드 오스틴 / 美 국방장관
"한국은 국내 정치적 도전을 헤쳐나갈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한미 관계는 철통같이 굳건하며 우리는 한반도 방어에 여전히 집중하고 있습니다."

미 국방부는 계엄이 한미 안보협력에 미치는 영향은 없고, 강력한 한미 연합 태세는, 어떤 위협에도 대응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퍼파로 인도태평양 사령관은 북한의 도발 조짐은 없지만, 감시 태세를 강화했다고 밝혔습니다.

새뮤얼 퍼파로 / 美 인도태평양 사령관
"한국은 정치적인 불확실성이 다소 있지만, 안보 측면에선 안정적이라고 확신합니다."

또 북한이 먼저 러시아에 파병을 제안했고, 대가로 탄도미사일과 잠수함 관련 기술을 원한다고 지적했습니다.

TV조선 신은서입니다.

신은서 기자(choshi@chosun.com)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뉴스제보 :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연합뉴스TV커제, 반칙패에 기권패까지…중국 네티즌 90% "수용 못해"
  • 뉴스1美, 불법이민자 추방에 군대 동원…수갑 채워 줄줄이 군용기에
  • YTN하마스, '2차 석방' 여군 인질 4명 명단 전달
  • 조선일보“침대 밑에 여자 시신이”… 한국 남성, 캄보디아서 살해 혐의 체포
  • 뉴스핌트럼프 3선 추진 시동? 미 공화의원 개헌 결의안 제출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