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이대론 탄핵 방어선 붕괴" 與 초비상…'尹 특검' 주장까지 나왔다

댓글1
중앙일보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뉴스1


14일로 예정된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본회의 2차 표결을 앞두고 여당 내부에서 “탄핵안 통과를 과연 언제까지 막을 수 있겠나”라는 의문이 커지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 후폭풍에 여당이 송두리째 흔들리는데, 탄핵에 대한 대응 격으로 내놓은 ‘질서있는 퇴진’ 방안은 며칠째 실체조차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국민의힘은 9일 최고위·중진회의·의원총회 등을 잇따라 열었다. 중지를 모으겠다는 취지였지만 윤 대통령의 퇴진 시기나 방법 등에 대해 속 시원한 답을 내놓는 이는 없었다. 최고위와 5시간의 의총 뒤 정국 안정과 법령 검토 등을 담당하는 의원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기로 했지만 “시간 단위로 계엄 사태 관련자들이 긴급체포되고, 윤 대통령이 출국 금지되는 등 정국이 요동치는데 우리 당은 너무 한가한 것 아니냐”(초선 의원)는 반응이 나왔다.

여당의 동요는 각종 회의에서도 뚜렷하게 감지됐다. 초선 김용태 의원은 의총에서 “여야 합의로 윤 대통령에 대한 ‘계엄 상설특검’을 처리해서 수사하자”며 “이후 수사 결과에 따라 탄핵이든 다른 방법이든 당의 방향을 정할 수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고 한다. 조경태 의원은 중진회의에서 “윤 대통령이 한 달 안에 퇴진해야 한다”며 “우리가 내란 동조자로 몰릴지, 먼저 결단해서 당을 살릴지 판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통령 하야(下野)를 당론으로 정하자는 주장도 나왔다. 하야 시기·방식과 그 사이 정국 안정 방안 등을 윤 대통령이 서둘러 내놓도록 촉구하자는 것이다. 재선 의원은 통화에서 “당이 무너지게 생겼는데 눈에 보이는 퇴진 방안을 서둘러 제시해야 국민이 꾸짖든 납득하든 하지 않겠나”라고 했다.

중앙일보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 앞에서 열린 국민의힘 해체 요구 기자회견에서 국민의힘 의원들의 이름이 쓰인 종이를 찢은 뒤 당사에 던지고 있다. 연합뉴스


당이 이런 상황에 몰리자 “탄핵 방어선이 뚫리는 건 시간 문제”라는 우려가 쏟아지고 있다. 이날 의총에서 복수의 의원들은 “집단 퇴장할 게 아니라 반대표를 던져도 표결은 참여해야 한다”는 취지로 주장했다고 한다. 탄핵안이 부결됐던 7일과는 기류가 바뀐 것이다. 익명을 원한 한 여당 초선의원은 통화에서 “국민 여론이 따갑다는 걸 피부로 느낀다. 다음 표결 땐 찬성표를 던질지 심각하게 고민 중”이라고 했다. 다른 의원은 “1·2차까지는 막더라도 3차, 4차, 5차 탄핵 표결까지 계속 막아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했다.

7일 탄핵안 표결에는 야당 의원 192명과 안철수·김예지·김상욱 의원이 참석했다. 이중 김상욱 의원은 당론에 따라 반대표를 던졌지만, 향후 소신 투표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여당 의원 5명만 추가로 이탈하면 탄핵안은 가결된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에서 정의화 전 국회의장은 통화에서 “14일 탄핵안 표결부터는 당론을 정하지 말고 양심에 따라 투표해야 한다”며 “설령 탄핵안이 통과되더라도 헌법 절차를 차분하게 따라야 나라가 온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국민의힘 의원들이 9일 오후 국회에서 5시간에 걸친 마라톤 의총을 마친 후 의총자을 나서고 있다. 김성룡 기자


여당 일각에선 그간 기대왔던 ‘이재명 사법리스크’가 외려 당을 옥죄는 역설적인 상황이란 자조가 나온다. 탄핵이나 조기 퇴진을 놓고 여당이 머뭇거리는 건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확정판결 때까지 대선이 열리면 안 된다는 암묵적 공감대 때문이라서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민주당은 무슨 수를 쓰든 이 대표의 확정판결 지연에 나설 것”이라며 “국민의힘은 이 대표의 재판 일정만 쳐다볼 게 아니라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대한 판단은 국민에게 맡기고, 당 차원의 신속한 대응책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말을 아꼈다. 한 대표는 이날 국회 의총장에 들어가며 윤 대통령 퇴진 시점과 하야 필요성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지 않았다. 여당 관계자는 “한 대표는 의총에서 ‘여러 의견을 많이 내달라’고 했고, 주로 듣는 입장이었다”며 “다양한 의견을 종합해 숙고에 들어갈 것”이라고 전했다.

손국희ㆍ이창훈 기자 9key@joongang.co.kr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뉴스1정부, 북한군 포로 韓 송환 가능성에 "우크라 측과 협의"(종합)
  • 파이낸셜뉴스관저 경호관 아내 "매일이 지옥...尹 위해 몸 던진 이들 위험 내몰아"
  • 중앙일보합참의장 "북풍·외환 표현, 軍 무시하는 것…직 걸고 사실 아냐"
  • 이데일리사비 탈탈 털어 ‘간부 모시는 날’ 뿌리 뽑는다
  • 경향신문‘검사 윤석열’은 ‘대통령 윤석열’을 불구속 수사했을까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