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대왕고래 시추선 도착…'탄핵정국 부담' 석유공사, 사진만 배포(종합)

댓글1
웨스트 카펠라호, 오전 6시 부산항 남외항 입항…동해심해 가스전 시추 본격 시작
영도 앞바다 정박해 자재 선적…17일께 시추 장소로 출발
산업부·석유공사, 탄핵정국 속 '로키' 진행
연합뉴스

부산항 남외항에 입항한 '대왕고래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
[한국석유공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동해심해 가스전 유망구조에 석유·가스가 묻혀 있는지를 확인할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가 9일 오전 6시 부산항 남외항에 입항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느닷없는 계엄령 선포 이후 이어진 탄핵정국 속에 현 정부의 핵심 국정 과제인 프로젝트명 '대왕고래' 가스전 시추의 본격적인 막이 오른 것이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한국석유공사는 당초 웨스트 카펠라호 입항에 맞춰 대대적인 홍보와 보도자료 등을 준비했다가, 갑작스러운 정치적 혼란이 불거지자 여론의 부담을 느낀 듯 사진과 영상 자료만 언론에 배포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석유공사에 따르면 웨스트 카펠라호는 부산 영도 앞바다 인근인 부산외항에 정박한 뒤 보급기지인 부산신항으로부터 7∼8일간 시추에 필요한 자재들을 선적할 계획이다.

보급 작업을 마치면 오는 17일께 시추 해역으로 출발해 본격적인 시추 작업에 들어간다.

정부는 해수면 아래 1㎞ 이상 깊이까지 파고 들어가 시료 암석층을 확보하는 데까지 2개월가량 걸릴 것으로 본다. 시료의 암석과 가스 등의 성분을 기록·분석하는 이수검층 (mud logging) 작업은 세계 1위 시추기업인 슐럼버거가 맡았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은 지난 1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완전히 분석하는 데까지는 꽤 오래 걸리지만, 워낙 국민의 관심이 높아 진행 상황에 대해 중간에 정리되는 대로 최대한 빨리 알려드리겠다"며 "유증의 존재 여부는 상반기에는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해양 시추 업체인 시드릴사 소속 드릴십인 웨스트 카펠라호는 길이 748.07ft(228m)·너비 137.8ft(42m)·높이 62.34ft(19m) 규모로 최대 시추 깊이는 3만7천500ft(1만1천430m)에 달한다. 2008년 12월 삼성중공업이 건조해 인도한 드릴십으로 그간 주로 동남아와 서아프리카 해역에서 작업했다.

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선적이라 수심이 얕은 부산신항에는 정박할 수 없다"며 "웨스트 카펠라호는 부산 영도에서 희미하게 보일 만큼의 거리에 정박했다"고 말했다.

이날 석유공사가 공개한 영상을 보면 웨스트 카펠라호가 푸른 바다 위에 떠 있고, 그 주변에 작은 선박들이 지나가고 있다. 석유공사는 부산 영도 앞바다에서 드론을 띄워 영상을 촬영했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앞서 윤 대통령이 지난 6월 긴급 대국민 브리핑을 통해 직접 개발 의지를 피력할 만큼 현 정부의 상징적인 정책 과제로 꼽혔다.

산업부와 석유공사는 해당 사업의 타당성 등과 관련한 논란이 일자, 유망성 평가를 담당한 미국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박사를 한국으로 긴급히 불러 기자회견을 진행할 정도로 대왕고래 프로젝트에 적극적이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국회의 해제, 이후 탄핵정국이 맞물려 돌아가면서 두 기관은 이날 웨스트 카펠라호의 입항 사실을 알리는 공식 보도자료도 내지 않은 채 조용히 시추 작업을 준비했다.

게다가 더불어민주당이 최근 예산결산특별위에서 단독 처리한 내년도 예산 감액안에서 첫 시추 사업 예산 497억원이 전액 삭감된 터라 산업부와 석유공사로선 시추 비용 조달 방안을 찾기에도 난감한 상황이다.

연합뉴스

부산 도착한 대왕고래 시추선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9일 오전 부산 남외항에 동해심해 가스전 유망구조에 석유·가스가 묻혀 있는지를 확인할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가 입항해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웨스트 카펠라호는 보급기지인 부산신항으로부터 7∼8일간 시추에 필요한 자재들을 선적할 계획이다. 2024.12.9 handbrother@yna.co.kr


석유공사는 이날 웨스트 카펠라호 입항을 계기로 다시 한번 영해 내 자원탐사의 필요성을 홍보하며 내년도 정부 예산 확보에 주력할 계획이었지만, 윤 대통령이 정치적 입지를 상실함으로써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첫 시추 예산 확보도 쉽지 않게 됐다.

정부는 혼란스러운 정국에도 내년도 예산안이 국회 본회의에 오르기 전까지 국회를 대상으로 첫 시추 예산의 필요성을 설득할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지난달 27일 정부가 승인한 시추 계획에 따라 사업은 진행될 것이며, 그대로 안 하게 되면 (시추 업체 등과의) 계약 위반"이라며 "국내 영해에서의 탐사시추에 정부가 예산을 투입하는 게 합리적인 만큼 국회를 계속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그래픽] 동해 석유·가스 매장 예상 지역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김민지 기자 = 4일 자원개발 업계에 따르면 '대왕고래'로 알려진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을 위한 첫 탐사시추 작업 시작이 초읽기 단계에 들어갔다. 개발 주체인 한국석유공사가 정부 당국과 조율을 거쳐 첫 시추 해역 선정을 사실상 확정했고,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도 이달 중 한국으로 출발해 오는 12월 중순 시추가 시작될 예정이다. minfo@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wis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전체 댓글 보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아이뉴스24잠실진주 재건축 공사비 588억원 추가 인상 확정 [현장]
  • SBS보험사기방지 특별법 시행 5개월…알선 혐의 400명 수사의뢰
  • 아시아경제고용부 '쿠팡CLS' 사법처리…"택배기사 불법파견 아냐"
  • 한국일보[CarTalk]'수입차 7위'로 밀린 아우디의 승부수 "올해 16개 신차 물량 공세"
  • 이데일리"20년 걸려도 잡는다" 양자컴퓨팅, 투자 열기[마켓인]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