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탄핵 정국’ 와중에 대왕고래 시추선 부산외항 입항...계획대로 잘 될까

댓글0
매일경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6월 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브리핑실에서 열린 국정브리핑에 참석해 동해 석유·가스 매장과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비상계엄 사태’로 정국이 격랑에 휩싸인 가운데 현 정부의 산업 분야 핵심 국정 과제인 ‘대왕고래’ 가스전 개발 사업을 위해 시추선 ‘웨스트 카펠라’호가 9일 오전 6시 부산외항에 입항했다.

하지만 야당이 첫 시추사업 예산 497억원을 전액 삭감한 상황에 향후 정국도 불투명해지며 추진 동력 약화 등이 우려된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웨스트 카펠라호는 부산 영도 앞바다 인근인 부산외항에 정박한 뒤 보급기지인 부산신항으로부터 7∼8일간 시추에 필요한 자재들을 선적할 계획이다.

보급 작업을 마치면 오는 17일께 시추 해역으로 출발해 본격적인 시추 작업에 들어간다.

정부는 해수면 아래 1㎞ 이상 깊이까지 파고 들어가 시료 암석층을 확보하는 데까지 2개월가량 걸릴 것으로 본다. 시료의 암석과 가스 등의 성분을 기록·분석하는 이수검층 (mud logging) 작업은 세계 1위 시추기업인 슐럼버거가 맡았다.

해양 시추 업체인 시드릴사 소속 드릴십인 웨스트 카펠라호는 길이 748.07ft(228m)·너비 137.8ft(42m)·높이 62.34ft(19m) 규모로 최대 시추 깊이는 3만7500ft(1만1430m)에 달한다.

대왕고래 프로젝트는 윤 대통령이 지난 6월 긴급 대국민 브리핑을 통해 직접 개발 의지를 피력할 만큼 현 정부의 상징적인 정책 과제로 꼽힌다.

그러나 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와 국회의 해제, 이후 탄핵정국이 맞물려 돌아가면서 산업부와 석유공사는 이날 웨스트 카펠라호의 입항 사실을 알리는 공식 보도자료도 내지 않은 채 조용히 시추 작업을 준비했다.

더욱이 더불어민주당이 최근 예산결산특별위에서 단독 처리한 내년도 예산 감액안에서 첫 시추 사업 예산 497억원이 전액 삭감된 터라 산업부와 석유공사로선 시추 비용 조달 방안을 찾기에도 난감한 상황이다. 시추 업체 등과 계약한 대로 동해심해 가스전 시추를 하지 않을 경우 계약 위반 사항이기도 하다.

정부는 혼란스러운 정국에도 내년도 예산안이 국회 본회의에 오르기 전까지 국회를 대상으로 첫 시추 예산의 필요성을 설득할 방침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매일경제“연봉 1억이면 7500만원 통장에 꽂힌다”...SK하이닉스, 기본급 1500% 성과급 주기로
  • 전자신문[신차드라이브]현대차 '팰리세이드', 토종 SUV 최강자 귀환
  • 파이낸셜뉴스"강남이 아니었네" 서울서 '원룸 월세 가장 비싼 곳' 어디길래
  • 이데일리현대차, 또 신기록 썼다…연매출 175조원 '사상 최대'(상보)
  • 이투데이한국비엔씨, 프로앱텍 통풍치료제 美 특허 등록…“경쟁약물 미국서 1조 이상 팔려”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