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

박근혜 땐 ‘非朴 62명’이 탄핵 찬성… 이번엔 친한계가 반대

댓글0
[비상계엄 파동] 8년前 탄핵 당시와 뭐가 다른가
조선일보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이덕훈 기자


야당이 오는 7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을 예고하면서 8년 전 박근혜 당시 대통령 탄핵 국면과 비교되고 있다.

2016년 12월 9일 당시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를 통과될 때 여당인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에선 의원 128명 중 최소 62명이 찬성했다. 당시 새누리당 지도부는 친박이었다. 비박계는 박 전 대통령 관련 의혹이 쏟아지자 ‘질서 있는 퇴진’과 당의 비상대책위원회 전환을 요구했지만 친박계는 받아들이지 않았다. 김무성·유승민 등 비박계 중진 의원들이 공개적으로 탄핵에 찬성하면서 탄핵 찬성파 수가 불어났다. 박 전 대통령이 탄핵 표결을 앞두고 기자 회견을 통해 “임기 단축을 포함한 진퇴를 국회에 맡기겠다”고 발표했지만 여당 의원들의 마음을 돌리지 못했다.

현재 국민의힘 의원은 108명이고 8명 이상이 이탈하면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은 가결 정족수를 넘기게 된다. 20명 안팎으로 평가되는 친한계(친한동훈계) 의원들이 8년 전 비박계처럼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에 비판적이다. 그때와 다른 점은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를 비롯한 친한계도 대통령 탄핵에는 반대 입장이라는 것이다. 국민의힘은 5일 새벽 의원총회에서 당론으로 ‘탄핵 반대’를 결정했다.

친한계는 윤 대통령의 계엄령 발동이 헌법·법률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고 이에 대한 법적·정치적 책임은 져야 하지만 그 방법이 ‘탄핵’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다만 윤 대통령이 계엄령 사태 이후 나빠진 여론을 수습할 대책을 내놓지 못할 경우 소장파 성향 의원들이 이탈할 가능성도 있다. 친한계 일각에서는 “이번 탄핵 시도만 반대하겠다는 것”이라는 기류도 감지된다.

[박수찬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선일보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

이 기사를 본 사람들이 선택한 뉴스

  • SBS"안 나오셨죠?" 4분 만에 끝난 '탄핵 심판' 첫 변론…윤 대통령 이의 신청 '모두 기각'하며 한 말
  • 뉴스1정부, 북한군 포로 韓 송환 가능성에 "우크라 측과 협의"(종합)
  • 뉴시스여, 자체 계엄특검법 발의키로…'내란선전선동·외환죄' 제외(종합)
  • 경향신문‘윤석열도 방어권 있다’는 비서실장···법조계 “방어권 아닌 사법 무력화”
  • 이데일리사비 탈탈 털어 ‘간부 모시는 날’ 뿌리 뽑는다

쇼핑 핫아이템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