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호진 교수(오른쪽)가 ROSS수술을 시행하고있다. |
김호진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가 환자 본인의 폐동맥 판막으로 손상된 대동맥 판막을 대체하는 ‘로스(ROSS)수술’에 성공했다. 국내에서 성인 환자에게 ROSS수술이 시행된 건 약 20년 만이다.
서울아산병원은 김 교수가 올해 8월 말 첫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으며, 환자는 수술 후 두 달이 지난 현재까지 부작용이나 합병증 없이 건강한 상태라고 14일 밝혔다.
대동맥 판막 질환이 있는 환자들은 그동안 기계판막 혹은 소·돼지 등의 동물 조직을 이용한 조직판막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질환을 치료해왔다. 기계판막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혈전 발생 위험으로 인해 평생 항혈전제 복용이 필요하고, 조직판막은 수명이 10~15년으로 짧아 특히 젊은 환자에서 재수술의 위험이 크다. 대동맥 판막 스텐트 시술 역시 조직판막이기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재시술이 필요해 고령 환자 중심으로 시술해왔다.
ROSS수술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1967년 영국에서 개발된 수술법으로, 환자 본인의 폐동맥 판막 조직을 사용해 생체 적합성이 뛰어나며 재수술 부담을 크게 줄여준다.
환자의 폐동맥 판막을 떼어내 대동맥 판막 자리에 이식하고, 비어 있는 폐동맥 판막 자리에는 폐동맥 동종판막조직(pulmonary homograft)을 이식하는 방식이다. 인공판막의 사용과 관련된 항혈전제를 복용할 필요가 없고, 재수술 가능성도 작아 젊은 환자들에게 적합하다.
미국심장학회지 ‘JACC’에서 2017년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ROSS수술 후 20년 장기생존율이 95%로, 기계판막으로 수술한 그룹의 68%보다 월등히 높았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일부 메이저 병원을 중심으로 ROSS수술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젊은 여성 환자는 임신을 고려해 항혈전제를 3~6개월만 복용하면 되는 조직판막을 우선 사용한 뒤 10~15년 후 재수술을 시행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ROSS수술의 도입으로 재수술 확률이 낮은 선택지가 하나 더 늘어난 셈이다.
ROSS수술은 폐동맥 판막과 대동맥 판막을 동시에 수술을 진행하기 때문에 의료진의 숙련된 기술과 조직 관리가 필수적이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서울아산병원 등 국내 극소수 병원 의료진이 성인 ROSS수술을 시행했지만, 당시에는 동종판막 획득 후 보관하는 기술이 완벽하지 않아 감염 우려가 있었다. 기계판막과 조직판막 등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수술은 중단됐다.
하지만 현재는 기증받은 동종판막조직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됐고, 환자의 평균수명이 늘어 재수술에 대한 부담이나 항응고제 복용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는 수술 방법에 대한 요구도 높다.
서울아산병원은 병원 내 조직은행을 통해 심장이식 수혜자로부터 기증받은 폐동맥 동종판막조직을 정해진 처리 과정에 따라 안전하게 보관하고 환자에게 제공한다. 조직 처리 과정은 약 8시간이 소요되는데, 항생제 및 냉동처리 과정 등을 통해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진다. 과정마다 미생물 검사를 시행하며, 검사에 문제가 없다면 최대 10년 동안 보관할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이 20년간 멈춰왔던 ROSS수술을 국내에서 다시 시행할 수 있게 된 데에는 김 교수의 강한 의지가 있었다. 그는 2021년부터 2년간 시카고 노스웨스턴 대학병원(Northwestern Memorial Hospital)에서 임상 전임의로 근무하며 ROSS수술의 세계적 권위자인 크리스토퍼 말레이즈리(Christopher Malaisrie) 교수에게 직접 수술 절차를 배우며 심화된 기술을 습득했다.
2023년 국내로 복귀한 후, 김 교수는 서울아산병원에서 심장이식 수술을 시행할 때마다 수혜자의 심장에서 온전한 폐동맥 동종판막조직을 확보하고 이를 보관하기 위해 직접 조직 처리 작업을 진행해왔다. 또한 수술 감각을 유지하기 위해 돼지 심장으로 ROSS수술 시뮬레이션을 다섯 차례 진행하며 첫 수술을 준비했다. 학회 참가를 위해 방한한 크리스토퍼 말레이즈리 교수의 지원으로 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
ROSS수술의 국내 적용을 위해서는 폐동맥 동종판막조직의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현재 한국에서 폐동맥 동종판막조직의 확보는 대부분 심장이식 수술을 받는 수혜자로부터 기증받은 심장의 판막 조직을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심장이식 수술 건수가 제한적이고, 기증이 적합한 심장 선별 또한 까다롭다. 또한 기증된 동종판막조직은 면역 거부반응 최소화 및 안전한 보관을 위해 세척 및 항생제 처리와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 과정에서 감염이 발견되면 동종판막조직을 폐기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기증자의 폐동맥 동종판막조직을 제품화하고, 각 병원은 이를 이용한 ROSS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국내에는 이런 제품이 인체 조직으로 분류돼 수입 절차조차 확립되지 않아 아직 도입되지 못하고 있다. 과거 한국공공조직은행에서 폐동맥 동종판막조직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수요가 부족해 현재는 제작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체 조직에 대한 인식과 기증이 활발하지 않고 조직 획득 및 처리 과정이 쉽지 않다 보니 폐동맥 동종판막조직의 확보 및 보관이 국내 ROSS수술 보급 및 확대에 중요한 갈림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교수는 “ROSS수술이 재도입됨에 따라 젊은 대동맥 판막 질환 환자들이 오랫동안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됐다”라며 “앞으로도 폐동맥 동종판막조직의 확보를 포함한 ROSS수술의 안정적인 시행 기반을 마련하는 데 집중해 많은 환자에게 최상의 치료 옵션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투데이/한성주 기자 ( hsj@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