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이런 내용을 담은 2024년 사회조사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조사는 2년마다 같은 주제로 진행된다.
조사 결과, 우리 사회가 전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응답자 비중은 28.9%로 2년 전보다 4.4%포인트 줄었다. 사회가 안전하다고 응답한 비중은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2014년 9.5%를 기록한 후 2년 주기 조사에서 매번 높아지다 이번에 처음으로 하락 전환했다. 안전하지 않다고 답한 비중은 2년 전 21.7%에서 올해 25.6%로 상승했다.
5년 전과 비교했을 때 우리 사회가 더 안전해졌다는 응답은 21.9%로 2년 전보다 10.4%포인트 줄었다. 미래 전망도 어둡다. 5년 후 우리 사회가 현재보다 안전해질 것이라는 응답은 22.9%로 2년 전보다 9.7%포인트 감소했다.
불안 요인으로는 범죄(17.9%)가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경제적 위험(16.5%), 국가안보(16.2%), 환경오염(10.0%) 순이었다. 범죄와 경제적 위험 응답은 2년 전보다 각각 4.0%포인트, 3.2%포인트 늘었다. 2022년 조사에서는 팬데믹으로 신종 질병이라는 응답이 21.0%로 가장 많았는데 올해는 7.9%였다.
개인정보 유출(57.6%), 정보 보안(42.2%) 등에서 불안감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또 환경 분야에서는 10명 중 7명(67.4%)이 미세먼지에 불안감을 느낀다고 답했다. 지난 1년간 한 번이라도 자살을 생각한 적 있다는 응답은 4.8%로 2년 전보다 0.9%포인트 낮아졌다.
밤에 혼자 걸을 때 불안하다고 느끼는 비중은 30.5%로 1년 전보다 0.9%포인트 늘었다. 성별로 보면 여성(44.9%)이 불안감을 느끼는 비중이 남성(15.8%)보다 3배가량 높았다. 불안한 이유로는 신문·뉴스 등에서 사건·사고를 접함(46.3%)이 가장 많았다. 이어 인적이 드묾(26.4%), 가로등·CCTV 등 안전시설 부족(16.9%) 순이었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중은 52.5%로 2년 전보다 2.5%포인트 증가했다. 2014년 이후 최고치다. 결혼을 하지 않는 이유는 ‘자금 부족’이 31.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출산·양육 부담’(15.4%), ‘고용 불안정’(12.9%) 순이었다.
가사분담을 공평하게 해야 한다는 응답 비중은 2년 전보다 4.2%포인트 늘어 68.9%를 기록했다. 그러나 실제로 공평하게 가사가 분담되고 있다고 응답한 아내 비중은 23.3%로 차이가 컸다.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짧게 살고 천천히 죽는 ‘옷의 생애’를 게임으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